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함산 석굴의 帝釋天像과 梵天像 (The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of Seokgur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토함산 석굴의 帝釋天像과 梵天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4호 / 121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은화

    초록

    이 논문에서는 석굴암 주실 존상 중 유일한 천부상인 제석천과 범천이 인도 힌두교에서 출발해 어떠한 불교도상으로 조상되며, 중국, 일본에 어떻게 수용, 전개되고, 가사를 두른 석굴암 범천과 금강저를 들고 흉갑을 착용한 석굴암 제석천으로 성립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 고대신앙에서 출발해 불교로 흡수된 범천과 제석천의 조상은 기원후 1세기경부터 불전부조에서 가사를 착용한 범왕의 모습과 보관을 쓰고 금강저를 든 제석천의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다. 석가모니와 불법을 지키는 천부의 제일신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이들 도상은 늦어도 5세기 중국으로 전해지고, 6세기 석굴사원이나 불비상에서 보이는 나계범왕상을 시작으로 점차 인도와는 다른 중국적인 모습의 범천과 제석천으로 정형화되어 간다. 8세기 돈황석굴 변상에서 보이는 관복을 입고 관모를 쓴 제왕의 모습을 한 범천과 화려한 보관을 쓴 천인의 모습의 제석천은 중국화된 이들 도상의 결과물이다.
    7세기 法隆寺 옥충주자에서 설산동자를 받고자 두 손을 내밀고 서있는 보관을 쓴 보살모습의 제석천을 시작으로 일본에서 범석은 도상 변이가 그리 다양하지 않다. 범천은 양 어깨에서 내려오는 가사를 허리나 그 아래에서 리본 모양으로 묶고 있으며, 제석천은 흉갑을 착용하고 우견편단의 가사를 입고 있으며, 양 다리에서 동심원을 그리거나 U자형으로 내려가는 우드야나식 옷주름의 표현이 공통적으로 나타나 범천 의습의 특징을 허리띠 매듭으로, 제석천 의습의 특징을 우드야나식 옷주름과 흉갑으로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8세기 중후반으로 추정되는 석굴암 범천상과 제석천상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예는 좀처럼 찾기 어렵다. 석굴암 범천과 제석천상 조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초기밀교의 위경인 다라니집경의 유입시기에 대해서는 늦어도 신라밀교승인 不可思議나 의림 등의 귀국시기인 선무외 입적년(735년) 직후로 여겨진다.
    둘 모두 전형적인 唐의 보살 모습으로 비슷한 시기에 한국과 일본에서 같은 도상의 보살이 조성되었으며 이는 범천과 제석천뿐만 아니라 석굴암 제보살상에 공통되는 내용이다.
    석굴암상 외에도 통일신라 불탑과 사리기에서는 지물과 의습의 연결이 석굴암상과 반대이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모습으로 표현되다가 9세기 후반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승탑과 금강령 등에서는 중국식 도상을 수용한 네모난 신체에 관복을 입은 범천과 제석천이 등장하며, 조선시대에 이르면 메트로폴리탄박물관소정 범천도에서 보듯이 거대한 단독 불화로 제작되는 등 제석도와 함께 중요한 신중도 중 하나로 봉안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how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the only statues of devas among those in the main hall of Seokguram Grotto, came from the Hinduism of India to become part of the statuary of a certain form of Buddhist iconography in Korea. The article also seeks to understand how these devas were accepted and developed in China and Japan and how they took shape as the Brahma-Deva of Seokguram Grotto who wears a Buddhist robe (kāṣāya in Sanskrit) and the Sakra devānām Indra of Seokguram Grotto who holds a vajra (a kind of scepter) and wears a breastplate.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originated in the ancient belief system of India and were assimilated into Buddhism. Beginning around the first century AD, statues of the two appear in relief sculptures of Buddha’s life stories in the form of King Brahmā wearing a Buddhist robe and Sakra devānām Indra wearing a jeweled crown and holding a vajra. Iconography of the two, who hold positions as the top deities among devas who protect Śākyamuni and Buddhist teachings, was introduced into China no later than the fifth century. Beginning with the icon of King Brahmā with a turban shell–shaped uṣṇīṣa (topknot), which appeared in grotto temples and images engraved on Buddhist steles in the sixth century, images of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gradually became standardized in a Chinese style, which differed from that of India. In eighth-century bianxiang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Buddhist sūtras) in the Dunhuang Caves, Brahma-Deva is depicted wearing the official robes and hat of a king, and Sakra devānām Indra is shown wearing the magnificent jeweled crown of a heavenly being. The iconography of the two show the effects of Sinicization.
    Sakra devānām Indra is depicted as a bodhisattva on the seventh-century Tamamushi Shrine at Hōryū-ji, a Buddhist temple in Japan. Sakra devānām Indra, wearing a jeweled crown, stands with both hands outstretched to catch the falling Buddha, who had been practicing asceticism in the Himalayas. Ever since this depiction was made, changes in the iconography of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in Japan has not been very diverse. Brahma-Deva’s Buddhist robes hang from both shoulders and are tied around the waist or below with what appears to be a ribbon. Sakra devānām Indra wears a breastplate, and his robe hangs from the left shoulder with his right shoulder exposed. He is commonly depicted with concentric circles drawn on each leg or with U-shaped folds in his robes that drape downward in the Udāyana style. The characteristic folds in Brahma-Deva’s clothing can be identified by the fact that they are tied with a belt at the waist. The characteristic folds in Sakra devānām Indra’s clothing can be identified by the fact that they drape downward in the Udāyana style and by the presence of an accompanying breastplate.
    In Korea, it is quite difficult to find examples of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icons that were created before those at Seokguram Grotto, whose statues are presumed to date from the mid- to late eighth century. The Tuoluoni ji jing (Sūtra of collected dhāraṇīs), an apocryphal sūtra of early esoteric Buddhism, appears to have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statues of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at Seokguram Grotto. The Tuoluoni ji jing is believed to have entered Korea immediately following the year that Śubhakarasiṃha passed away (AD 735), which is approximately the time that Bulgasaui and Uirim, and others who were esoteric Buddhist monks of the Silla period, returned to Korea.
    Around the same time that both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were being portrayed as representative bodhisattvas of Tang China, bodhisattvas of the same iconography were being created in Korea and Japan. This means that the iconography applied not only to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but also to the various bodhisattva statues in Seokguram Grotto.
    Beyond the statues at Seokguram Grotto,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s held in the hands of Buddhist statues and folds in the statues’ sculpted clothing that one sees in the pagodas and śarīra reliquaries of Unified Silla is the opposite of that depicted in Seokguram Grotto. However, overall similar depictions were made until the late ninth century, when Brahma-Deva and Sakra devānām Indra appear wearing official robes on square figures rendered in the style of Chinese iconography on Goryeo-period śarīra pagodas, vajraghantas (handheld bells), etc. During the Joseon period, individual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were produced, such as the Beomcheondo (Brahma-Deva with attendants and musicians) in the collection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City. This painting, along with paintings of Sakra devānām Indra, has been enshrined as one of the important paintings of Buddhist de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