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중의 꿈, 민화 금강산도의 양식계보 (Dream of Common Folks - Genealogy of the Style of Geumgangsan Landscapes in Folk Paint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민중의 꿈, 민화 금강산도의 양식계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9280권 / 279280호 / 295 ~ 320페이지
    · 저자명 : 진준현

    초록

    민화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민화금강산도이다. 민화금강산도는 정선과 김홍도 등의 진경산수화가 저변화하여 민화로 발전한 것으로 현재 다수의 작품이 남아있다. 민화금강산도는 일반회화에서 발전하였으나 오히려 일반회화에서 볼 수 없는 민중의 꿈이 솔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본고는 현재 전하는 다양한 민화금강산도의 양식계보를 밝혀 본 것이다. 먼저 정선의 금강전도 형식의 영향으로 ‘내금강산전도(內金剛山全圖)’ 양식이 성립하였다. 내금강산전도 양식은 리움 소장 10폭병풍에서 보듯이 하나의 전형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내금강산전도 양식은 외금강의 각지가 탐승되던 시대적 상황에서 더 이상 다양하게 발전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내외금강산 명소도(內外金剛山名所圖)’ 양식이 성립되었다. 이 양식의 병풍에는 내금강, 외금강의 명소들이 절반씩 배치되었다. 내금강은 탐승의 순서에 따라 배치하였으나 외금강은 지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임의로 배치하였다. 그런데 원광대박물관 소장 금강산도는 내외금강산명소도 양식의 시원적(始原的) 화풍을 가지고 있으며, 전문 화가의 솜씨로 제작된 점이 주목된다. 내외금강산명소도 양식은 다양하게 발전하는데, 화풍상으로는 정선의 영향이 가장 크다. 민화금강산도의 전형양식은 서양화법의 도입과 사진, 엽서 등 출판물의 보급과 함께 점차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꿈과 상상의 영역을 사실주의 회화와 사진을 통한 사실적 정보가 대체하였고, 마침내 조선시대 진경산수화에 근거한 민화금강산도 양식을 붕괴시킨 것이다.
    민화금강산도병풍 양식의 성립과 변화 과정을 살펴볼 때, 민화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 )와 비슷한 면모가 주목된다. 두 가지 민화는 모두 처음에는 전문화가의 솜씨에서 시작했으나 점차 민화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뚜렷한 전형양식을 형성하다가 점차 쇠퇴하였다. 조선후기 민화에서 보이는 이런 ‘양식화 경향’은 우리나라 미술의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olk paintings of Geumgangsan Mountain developed from the "paintings of true-view landscapes" (Jingyeong Sansuhwa) produced by Jeong Seon (1676-1759) and Kim Hong-do (1745-?). Whie the Geumgangsan folk paintings were developed from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they contain frank expressions of the dreams and aspirations of ordinary people of late Joseon that can be hardly found in ordinary painting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genealogy of the surviving Geumgangsan landscapes with respect to their folk painting style.
    A Comprehensive View of Diamond Mountain (Geumgang Jeondo) by Jeong Seon resulted in a trend of depicting the entire panoramic view of the Inner Geumgangsan. The style continued to develop to produce masterpieces such as the painting mounted on a tenpanel folding screen in Leeum Museum in Seoul, but could not make further advancement enough to overwhelm the existing trend of painting selected attractions in the Outer Geumgangsan.
    There followed a new trend, painting individual scenic sites in both Inner and Outer Geumgangsan as shown by this folding screen where one half of the panels are taken by Inner Geumgangsan landscapes and the other half by Outer Geumgangsan landscapes. The attractions of the Inner Geumgangsan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ightseeing route while those of the Outer Geumgangsan in an arbitrary manner. The painting of Geumgangsan collected by Wonkwang University Museum displays professional brush stokes capturing characteristic elements of both Inner and Outer Geumgangsan views. The paintings of Inner and Outer Geumgangsan continued to develop in a variety of ways under a strong influence from the works by Jeong Seon, but gradually vanished away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rt techniques and widespread circulation of published materials such as photographs and post cards. As the area of dreams and imaginations became replaced by information of the real world through realistic paintings and photographs, the Geumgangsan landscapes continued to lose the folk painting style based on the Jingyeong landscape paintings develop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 closer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folk painting style Geumgangsan landscapes mounted on folding screens shows similarities with that of the Hyoje Munjado, the ideographic painting of filial piety and familial love and etc. Both started by professional artists, developed into the genre of folk painting with its own style before being gradually disappeared. The tendency of stylization in the folk painting of late Joseon has since then grown into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Korea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