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해의 불교유신과 소태산의 불교혁신 (Reform modern korean buddhism of Manhae and Sotae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6
31P 미리보기
만해의 불교유신과 소태산의 불교혁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64호 / 221 ~ 251페이지
    · 저자명 : 정순일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불교개혁운동과 관련하여 만해와 소태산 간의 철학적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필자는 소태산이 만해의 불교개혁운동을 계승하였을뿐 아니라 극복하려 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철학적 관계는 아래의 여섯 가지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소태산은 만해의 불교개혁사상으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들을 차용하였다. 특히 그의 조선불교혁신론은 만해의 작품, 조선불교유신론으로부터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둘째, 소태산은 총론에서 만해의 불교 개혁 이념을 공유하였지만, 각론에서는 그것을 극복하려 시도하였다.
    셋째, 그들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공유하였다.
    넷째, 소태산이 만해의 불교혁신론 항목 중 몇몇을 삭제한 이유는 그가 이미개혁안 내용 가운데 일부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섯째, 소태산이 불교의 개혁론을 쓴 이유는 두가지이다. 하나는 원불교 교화 업무들을 통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앙의 패러다임을 불상으로부터일원상(진리의 상징)으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여섯째, 종교와 정치의 관계와 관련하여, 만해는 분리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소태산은 협력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delve into the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Manhae (萬海 韓龍雲, 1879∼1944) and Sotaesan(少太山 朴重彬, 1891∼1943) with respect to reformation movement of Buddhism. I think that Sotaesan intended to overcome as well as succeed Manhae’s thought of Buddhism Reformation movement. Their philosophical relationships can be summarized into the below six points.
    First, Sotaesan borrowed many ideas from Manhae’s reformation thoughts of Buddhism. In particular, his work of “Reformation of Joseon Buddhism” was directly influenced by Manhae’s work, the “Reformation of Joseon Buddhism.” Second, Sotaesan shared Manhae’s reformation ideology of Buddhism in general, but he attempted to surmount it in particular.
    Third, they shared the prospect for the future.
    Fourth, one of the reasons why Sotaesan cut back some items of Manhae’s Reformation of Buddhism was because he already carried out some of the reformation proposal contents.
    Fifth, the reasons why Sotaesan wrote “the theory of reformation of Buddhism were two: ① integration of Wonbuddhist edification tasks and ② shift of worship paradigm to Ilwonsang(symbol of the truth) from Buddha Statue.
    Sixth,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while Manhae held separation perspective, Sotaesan did cooperation view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