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함산 石窟 十大弟子像의 연구 (A Study on the Statue of the Ten Principle Disciples in Seokgur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토함산 石窟 十大弟子像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4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은선

    초록

    ‘十大弟子’란 석가모니를 직접 모셨던 직계 聲聞弟子 중 우두머리 열명을 일컫는 말로, ‘釋迦十大弟子’, ‘釋迦十聖’라고도 한다. 이 글은 통일신라 불교미술 최고의 걸작품인 석굴암 조각 중에서 십대제자상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십대제자상은 본존불이 있는 원형 主室의 主壁에 배치되어 존격이 높다. 또한 주실 벽면의 3분의 2에해당하는 넓은 벽면을과감하게 할애한 중요한 상이다.
    십대제자상은 정확한 존명이나 배치순서에 이견이 많다. 왜냐하면 지물과 수인이 所依經典과 맞지 않고, 존명을 정확하게 비교할 만한 도상의 근거가 아직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불제자는 깨달음을 얻었으나 미륵이 올때까지 중생을 제도해야할 지극히 인간다운 ‘僧侶’나 ‘祖師’의 도상으로 표현이 자유로우며 개성적이고, 고정된 圖像없이 다양하다. 그중 병향로와 향합을 든 도상, 경권을 든 도상, 합장을 한 도상 등은 석굴암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국제적인 도상이다. 이는 일본 가쥬지(勧修寺) <釋迦如來說法圖>, 중국 <敦煌 莫高窟 56窟 壁畵>, 중국 <炳靈寺 11窟 壁畵> 등과 비교할 수 있다.
    석굴암 십대제자상은 정확하게 좌우대칭을 기초로 한 원형배치법이다. 본존상을 중심으로 둥글게 도는 원형배치법이며, 양 끝의 제자가 병향로와 향합을 들고 공양의식을 하고 있는 장면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본존을 성스럽게 둘러싸는 한편, 입구쪽을 향하여 율동감있게 행진하는 모습을 조형화한 완벽한 조각이다.
    석굴암 십대제자상과 양식적으로 비교할 주요 작품은 중국 <龍門石窟 東山 看經寺洞 29祖師像>, 중국 <龍門石窟 擂鼓台 中洞의 25祖師像>, 중국 <天龍山 石窟 아난·가섭상>, 일본 <興福寺 乾漆 十大弟子像> 등이다. 얼굴은 강한 볼륨감을 준 서역인의 풍모이며, 표정은 인간적인 감정을 드러내 섬세하고, 유려한 옷자락 등 사실주의에 충실한 양식이다. 따라서 십대제자상은 석굴암 도상 중에서 가장 자유롭고 개성강한 조형이다.

    영어초록

    The ten principle disciples are refered to the ten leading disciples also called ‘the ten disciples of Sakyamuni’ or ‘the ten saints of Sakyamuni’, who served Buddha and heard his preaching close t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tatue of the ten principle disciples in Seokguram, considered the masterpiece of Buddhist art in Silla in the era from the 7th to 8th century. The statue of the ten disciples is arranged at the back wall of the main chamber where the Svadeva (Principle Buddha) is placed, suggesting their highly considered position in Buddhism Also two thirds of the wall in the main chamber is allocated for their statue, which presents their religious significance.
    Still, there are a number of differing views in their exact names or the order of arrangement, since the symbolic hand gesture or what they hold is not in accord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here is no ground for the icon to identify their names yet. Especially a Buddhist regarded as the icon of a very humane monk or a Buddhist Patriarch achieved great enlightenment but remained for leading all living beings till the advent of Maitreya. The way they are expressed is various and distinctive without any formulaic pattern.
    Of them, there are some icons in common in Eastern Asia including Seokguram, such as the icon holding an incense burner with shaft or an incense box, the icon with a scroll of sutras, and the icon putting its hands together in a prayer position. It is available to compare with the Painting of Buddha Giving a Sermon at Kajuji Temple (勧修寺 釋迦如來說法圖) in Japan or the mural painting at the 56th Grotto of Dunhuang Mogao Caves (敦煌 莫高窟 56窟 壁畵) and that of the 11th Grotto in Bingling Temple (炳靈寺 11窟 壁畵) in China. The statue of the ten disciples in Seokguram is structured in a circle arrangement with the exact bilateral symmetry. It surrounds the statue of Svadeva in a circle and effectively pictures the scene that two disciples at each end hold the incense burner and the incense box to make an offering ritual. While surrounding the Svadeva in a holy way, it is carved with perfection to make an offering by rhythmic and lively motions toward the entrance. In comparing, the followings are available in terms of the mode of expression; in China, the 29 Buddhist Patriarchs in Kanjingsidong (東山 看經寺洞 29祖師像) and the 25 Buddhist Patriarchs in Leigutai Jungdong (擂鼓台 中洞 25祖師像) of Longmen Grottoes (龍門石窟), the Statue of Ananda and Kasyapa at Tianlongshan Cave (天龍山 石窟) or in Japan, the Lacquered Statue of the Ten Principle Disciples in Kofukuji Temple (興福寺 乾漆 十大弟子像).
    Each of the disciples’ faces looks similar to Westerners’ with strong visual depth and expresses humane emotions with the flowing trains of garment, which truly presents realism.
    Thus, the statue of the ten principle disciples is the most unconstrained and distinctive art work in all the statuary in Seokgu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