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강산의 텅스텐 채굴과 일제의 대응 (Tungsten Mining in Mt. Geumgang and Japan’s Countermeas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11
34P 미리보기
금강산의 텅스텐 채굴과 일제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72호 / 229 ~ 262페이지
    · 저자명 : 손용석

    초록

    금강산은 일제강점기 한반도를 대표하는 명승이자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금강산의 빼어난 풍경을 지키는 보전행위는 막대한 관광수입을 확보하는 개발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하지만 금강산에 매장된 텅스텐은 이러한 보전논리를 상쇄할만한 자원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텅스텐이 갖는 전략물자로서의 가치는 점점 커졌고, 텅스텐을 확보하기 위한 광산개발은 조선총독부의 중요한 시책으로 부상했다.
    일제강점기 금강산의 풍경 ‘보전’과 텅스텐 광물자원 ‘개발’ 사이의 관계는 시기별로 그 양상을 달리했다. 1910년대 단계에서는 금강산과 텅스텐을 둘러싼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비화되지 않았다. 당시 조선총독부는 금강산에 관한 종합적인 관리나 보전의 필요를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1913년 일본인의 금강산 텅스텐 개발도 보전의 논리가 개입할 여지도 없이 승인됐으며, 이는 미쓰이광산회사의 금강산 진출까지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1910년대 금강산 텅스텐 도굴 문제 역시 텅스텐 시장을 교란시키는 것에 관한 대응과 단속의 의미가 컸지, 도굴로 인한 금강산 환경파괴는 심한 문제로 부각되지 않았다. 시기적으로도 1913년 채굴 이후 5년만인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인하여 텅스텐 수요가 하락했고, 한반도 텅스텐의 채산성 악화 등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금강산 텅스텐의 채굴 및 도굴은 중단되었다.
    1930년대 들어서 텅스텐 수요가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금강산 텅스텐 채굴 및 도굴도 다시금 진행됐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의 입장이 1910년대와는 판이하였다. 1930년 이후 금강산의 관광을 위한 ‘보승’이라고 하는 정책적 목표를 견지했고, 철도국은 동해북부선을 개통하면서 외금강 일대 관광개발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서 금강산의 가장 중요한 관광자원인 경관을 지키기 위한 보전 논리가 상당 부분 작용하게 된다.
    금강산 보전과 개발에서 1937년 중일전쟁을 분기로 이전과 상황이 달라졌다. 일본 텅스텐 수요의 절반 가량을 담당하던 중국으로부터의 텅스텐 수입이 막히면서, 한반도 텅스텐의 가치가 폭등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금강산 텅스텐 도굴은 격증하고, 합법적인 채굴청원 역시 급증했다.
    조선총독부는 금강산의 풍경 보전과 텅스텐 개발이라는 두 가지 갈림길 사이에서 그 방향을 정해야 했고, 선택한 방법은 1910년대 상황의 재판이었다. 즉, 금강산 신풍리 일대에 한해서 채굴을 승인하는 한편, 나머지 주요 관광지에서 채굴은 금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법이 가능했던 것은 신풍리 일대가 금강산의 주요 관광코스에서 벗어난 곳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총독부로서는 신풍리 일대의 경관이 훼손되더라도 텅스텐 개발로 인한 이득이 더 크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 결국, 일제강점기 금강산은 관광수익과 광산수익의 경중에 따라서 조선총독부에 의해 끊임없이 저울질을 당했다. 1937년 중일전쟁은 관광과 텅스텐 사이의 균형을 텅스텐 쪽으로 기울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였다. 일제강점기 금강산의 주요 관람 동선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신풍리 일대에 텅스텐 등 광물자원이 집중적으로 매장된 자원분포 상황은 관광과 광산 개발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리는데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했다. 여기에 더하여 금강산 일대에서 횡행했던 도굴은 1937년 이후 금강산에서 합법적인 채굴의 필요성과 당위를 설명하는 명분으로 작용했다.

    영어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unt Geumgang established itself as a scenic spot and tourist destination representing the Korean peninsula. The conservation act to protect the outstanding scenery of Mt. Geumgang contained the meaning of development that secured enormous tourism income. However, tungsten buried in Mt. Geumgang was a resource that could offset this conservation logic. Throughout World War I, the value of tungsten as a strategic material gradually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mines to secure tungsten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on” of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and “development” of tungsten mineral resources changed from time to time. At the stage of the 1910s, the problems surrounding Mt. At that time,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feel much of the need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or preservation of Mt. Geumgang. Therefore, the Japanese development of tungsten from Kumgang in 1913 was also approved without any reason for the preservation logic, which led to the Mitsui Mining Company’s advance to Mt. Kumgang. In the 1910s, the problem of tungsten robbery from Mt. Kumgang was also significant in response to disturbing the tungsten market and the crackdown was significant, a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of Mt. Tungsten demand fell due to the end of World War I in 1918, five years after mining in 1913, and the mining and stealing of tungsten from Kumgang was naturally stopped due to deterioration in the profitability of tungsten on the Korean Peninsula.
    As tungsten demand began to increase in the 1930s, the mining and digging of tungsten from Geumgang also proceeded again. However, the position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10s. Since 1930, it has maintained the policy goal of being a “boost” for tourism in Mt. Geumgang, and the Railway Bureau has been making efforts to develop tourism in the Oegeum River area by opening the East Sea North Line. Accordingly, the conservation logic to protect the landscape, the most important tourist resource of Mt.
    In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Mt. Geumgang, the situation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s tungsten imports from China, which used to account for about half of Japan’s tungsten demand, were blocked, the value of tungsten on the Korean Peninsula soared. Accordingly, the tungsten robbery from Geumgangsan increased rapidly, and legal mining petitions also increased rapidly.
    The Chosun Governor-General had to decide the direction between the two crossroads of preservation of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and development of tungsten, and the method chosen was a trial in the situation in the 1910s. In other words, mining was approved only in the Sinpung-ri area of ​​Mt. Geumgang, while mining was prohibited in the rest of the major tourist destinations. This method was possible because the area of ​​Sinpoong-ri was off the main tourist course of Mt. Geumgang. Therefore, the Governor-General believes that even if the landscape of Sinpung-ri is damaged, the benefits of tungsten development are greater. In the e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t. Geumgang was constantly weighed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ourism and mining profits. The Sino-Japanese War of 1937 was a decisive moment to shift the balance between tourism and tungsten toward tungsten. The distribution of mineral resources such as tungsten in the Shinpung-ri area,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main viewing flow of Mt. Geumg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rved as an important condition in determining that tourism and mine development were possibl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is, the robbery that ran across Mt. Geumgang served as a justification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and rationale for legal mining in Mt. Geumgang after 193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