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함산 석굴 문수·보현보살상 연구 (A Study on the Iconography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in Seokgura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6
24P 미리보기
토함산 석굴 문수·보현보살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4호 / 97 ~ 120페이지
    · 저자명 : 주수완

    초록

    이 논문은 石窟庵 本室 앞쪽에 위치한 두 菩薩立像의 尊名 및 圖像的 淵源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 두 보살상은 석굴암 본존불이 보드가야의 降魔成道像을 바탕으로 한 釋迦牟尼로 해석됨에 따라 석가모니의 권속인 文殊·普賢菩薩로 해석되고 있다. 하지만 석가모니의 협시보살이 문수·보현보살이어야 한다는 경전상의 근거는 찾기가 어렵다. 아울러 문수·보현보살이 찻잔(茶盌)과 經冊을 들고 있는 도상적 전거 역시 분명하지 않다.
    석가모니의 권속으로서 분명하게 문수·보현보살이 확인되는 경우는 獅子와 코끼리(象)를 탄 보살이 등장하는 경우이다. 이는 『陀羅尼集經』에서 그 전거를 찾아볼 수 있는데, 석굴암이 제작되던 시기보다 1세기가량 앞서 번역되었기 때문에 석굴암 제작자들은 이 경전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725년의 명문을 지닌 山東省 城武縣의 石造舍利塔 門扉에도 사자와 코끼리를 탄 문수·보현보살상이 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굴암에서 사자·코끼리를 탄 도상을 문수·보현보살의 도상으로 채택하지 않았던 것은 이러한 도상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었거나, 『다라니집경』의 문수·보현보살과는 성격이 다른 도상임을 의도적으로 강조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만약 이들 도상이 사자·코끼리를 탄 보살도상이 알려지기 전의 도상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면, 우리나라나 혹은 중국에 이와 같은 유형의 문수·보현보살 도상이 존재해야겠지만, 현재까지 석굴암에서와 같은 문수·보현보살 도상이 짝을 이루어 등장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석굴암 보살도상에 보이는 찻잔이나 경책을 든 보살상은 敦煌 莫高窟, 洛陽 龍門石窟 등에서 보이고 있지만, 이런 유사한 도상이 문수·보현을 의미한다는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중국에 존재하고 있던 도상이지만, 이 도상을 각각 문수와 보현보살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재해석하여 석가모니의 권속으로서 짝을 이루어 등장시킨 것은 석굴암 설계자의 창안이었다고 해석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찻잔과 경권이 문수·보현보살과 연관될 수 있는 몇몇 전거들을 고찰했다. 찻잔은 『宋高僧傳』에 등장하는 文殊菩薩을 만난 無著의 설화와 연관지어보았으며, 경책은 中國 五台山 南禪寺 大殿의 普賢菩薩이 經卷을 들고 있는 도상과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문수의 찻잔은 參禪을, 보현보살의 經冊은 敎學을 상징하는 지물을 의도했던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나아가 이는 각각 석가의 깨달음의 요체와 실천적 보살행의 개념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a result of study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two bodhisattvas located in the front of main hall of Seokguram(石窟庵). These two bodhisattvas are interpreted as Manjusri and Samantabhadra because the main image of Seokguram is regarded as Sakyamuni buddha which is based on the image in Mahabodhi shrine on Bodhgaya, India.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doctrinal evidence that Sakyamuni is flanked by Manjusri and Samantabhadra. Further, it is more difficult to confirm the iconographic reference that Manjusri and Samantabhadra distinguished by tea bawl and sutra booklet.
    If Manjusri and Samantabhadra ride on lion and elephant, it is easy to define. We can find out that these bodhisattva’s iconography of riding lion and elephant are based on Dharani Collection Sutra, and this was known to the designers of Seokguram because this sutra was translated before about one hundred years ago from Seokguram. The first made example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with lion and elephant can be found at the relief door leaf on stone Sarira stupa in Chengwu xian(城,武縣) Shandong sheng(山東省), dated the year of 725.
    Inspite of these type of bodhisattva were already known to the United Shilla at that age, these were not applied for iconography of Seokgura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which were not a regular symbol image of two bodhisattvas or intended to be based on the other doctrinal tex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Dharani Collection Sutra. If the image of two bodhisattva in Seokguram were based on the precedent iconography, similar images have to be found at the former periods. But no example can be found at least until now.
    Even the similar bodhisattva images with tea bawl and sutra booklet as Seokguram can be found in Dunhwang Mogaoku and Luoyang Longmen caves,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y means Manjusri or Samantabhadra. It shows that the bodhisattva images with these symbols were already exist in China, but applying it to Manjusri and Samantabhadra iconography was inventional idea from the designers of Seokguram.
    This essay tried to contemplate the reason of relationship between tea bawl, stura booklet and Manjusri and Samantabhadra. The tea bawl can be concerned with the meeting of monk Wuzhuo and Manjusri which described in Song Gaoseng chuan(宋高僧傳) while sutra booklet connected to Samantabhadra image of Nanshansi(南禪寺) in Wutaishan(五台山). According to these connection, the tea bawl can be interpreted as Samādhi(dhyāna, 定) while sutra booklet may means Prajñā(literary learning, 慧). Further more, it could be meaning the contrast with ultimate invisible enlightenment and practical asce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