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두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 (Representation of Mt. Baekdu in Classic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12
24P 미리보기
백두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06권 / 99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영

    초록

    예부터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성산으로 숭앙되어 왔다. 백두산 시가로는 9수의 백두산 시조와 1편의 기행가사 <백두산근행기>가 전해지고 있다.
    백두산 시조는 내용 면에서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우선, 호기 표출 시조이다. 김종서의 <長白山에 旗를 ᄭᅩᆺ고∼>와 남이의 <長劒을 ᄲᅡ혀 들고∼>는 조선 건국 초기에 창작된 시조들로서 각기 국토 확장의 의지와 국태민안의 바람을 표출하였다. 강응환의 <昌城感古歌>는 중국에 빼앗긴 요동의 옛 땅을 회복코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다. 무명씨의 <白頭山 발노 박ᄎᆞ∼>는 영토 확장과 농업 경영을 주제로 하고 있다. 무명씨의 <白頭山을 올나 가셔∼>는 우리나라가 문명과 자유의 나라라는 것이며, 민족적 자존심을 드러낸다. 초장과 중장에 남이의 <북정가>를 수용하여 국토수호의 의지를 계승하고 종장에 작가 나름의 생각을 더한 세 작품도 있다. 이들 작품 가운데. 한 작품의 종장은 남이의 <북정가>를 독자/청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마련한 내용으로 보인다. 나머지 두 작품의 종장에서는 화자의 중의성 측면에서 작품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연군 시조이다. <白頭山 놉히 안져∼>는 좋은 집이 만들어지기까지 함께 노력했던 죽은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白頭山 놉흔 봉은∼>은 영원성을 노래하고 있다. 특히, 신하로서 임금에게 영원한 충성을 다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백두산근행기>는 작가 고단이 1995년 9월, 나이 74세 가을에 백두산을 구경하고 지은 기행가사 작품이다. 작품은 총 89행의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사의 율조를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사실적인 내용으로 산문화가 진행된 모습을 보인다. 작품은 3대단 7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서사: 북경 도착, 이화원 구경, 2) 본사1: 연길시 구경, 3) 본사2: 천지 가는 길, 4) 본사3: 백두산 천지, 애국애족적 상념, 5) 본사4: 하산과 용정시 구경, 6) 본사5: 청산리 전투 소개와 유공자 추모, 7) 결사: 남북평화 기원’이 그것이다. 두운과 각운의 활용을 통한 율동미 구현이나 시각을 활용한 이미지 형상화가 주목되며, 각종 수사법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표현미를 제고하고 있다. 수사법 가운데에서는 의태법의 활용이 인상적이다. 기원의 문체로 작품이 마무리된다.
    백두산 시가의 현대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변경시조, 변경문학의 체계적 서술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른바 ‘백두산 문학’의 총체적 접근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역사의식 함양 및 민족문학 혹은 통일문학의 교육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특히, <백두산근행기>의 경우, 여성가사 혹은 기행가사의 범위를 확대, 그문학사의 확장적 서술에 기여하고, 또 고단의 7편 기행가사의 종합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Mt. Baekdu has been revered as a sacred mountain of Korean people since ancient times. Classic poetry of Mt. Baekdu was written at the time of visiting from the place of appointment, or during excursion (Baekdusan Sijo), or tour (<Baekdusan Geunhaenggi>).
    Baekdusan Sijo show two aspects in terms of content. First, there is Sijo that dealt with gallant spirit. Kim Jong-seo's <Planting a flag in Jangbaeksan~> and Nami’s <Holding a long sword~> were filled with manly spirit. Kang Eung-hwan's <Changsunggamgoga> is a representative border poem. It reveals his will to restore the old land of Yodong, which was taken away by China. Unknown poet’s <Stepping on Baekdusan∼> has territorial expansion and agricultural management as its theme. Another unknown poet’s <Climing Baekdusan∼> reveals that our country is a country of civilization and freedom, as well as national pride. There are also three works that inherited the will to protect the country by accepting Nami's <Bukjeongga>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and added the poet's own thoughts to the closing chapter. The second is Yeongun Sijo. <Embraced in Baekdusan∼> is a work of longing for the dead lover who worked together until a good house was built. <The peak of Baekdusan∼> sings eternal loyalty.
    <Baekdusan Geunhaenggi> is a travel lyrics written by Godan in September 1995, when he visited Mt. Baekdu at the age of 74 years old. The work consists of 89 lines,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hythms of the lyrics, showing the progress towards prose. The work consists of three large and seven small parts. "1) Preamble: Arrival in Beijing, Ihwawon Tour, 2) Body 1: Touring Yeongil, 3) Body 2: Road to Cheonji, 4) Body 3: Cheonji of Baekdusan Mountain, Thoughts of Patriotism, 5) Body: Viewing Hassan and Yongjeong City, 6) Body 5: Introduction to the Battle of Cheongsan-ri and Remembrance of the Deceased, 7) Closing: Wishing for Inter-Korean Peace." In terms of expression, rhythmic beauty through the use of alliteration and rhyme or representation of images by using visualization draws attention, and the use of mimesis is impressive among rhetoric techniques.
    The modern meaning of the classic poetry of Mt. Baekdu is as follows. First, through cultural geography approach, it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scription of border Sijo and border literature.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approach of the so-called "Baekdusan literature." Third, I believe that it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literature or unification litera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aekdusan Geunhaenggi>, I believ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tended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female or travel lyrics and to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seven line travel lyrics of God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