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의 역법 제정과 『七政算』 (King Sejong’s Calendar System and 『Chiljeong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12
23P 미리보기
세종의 역법 제정과 『七政算』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8호 / 99 ~ 121페이지
    · 저자명 : 한영호, 이은희, 강민정

    초록

    세종 2년에 수시력법을 배우기 시작한 후로 초유의 本國曆인 『七政算』의 內篇法과 外篇法을 제정하기까지 20년이 넘는 기간이 소요되었다. 세종 14년까지 前半이 수시력의 산법을 익혀 중국의 역법을 조선에서 완벽히 구현하는 데 소요된 기간이었다면, 이후 세종 24년까지 後半은 儀表를 갖추고 측험과 더불어 교정에 매진한 기간이었다.
    이 글에서는 세종의 역법 교정이 후반에 이르러 새로운 목표, 즉 수시력법보다 더욱 정밀한 교식추보법을 향하여 나아간 자취를 추적하였으며, 또 새 목표를 향하여 전개된 교정 작업의 결과가 어떠하였는지를 기록의 재구성을 통해 살폈다. 이로써 새 추보법을 찾아내고자 세종 12년 이후 12년 동안 기울인 노력이 당초의 의도대로 마무리되었는지, 그리고 『칠정산내편』에는 어떤 모습으로 담겨졌는지를 밝혀보았다.
    이 글에서는 또 簡儀 등의 의기가 본국력 제정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의기로써 추구하였던 바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폈다. 그리고 『칠정력』과 『칠정산외편』에 주목하여 역법 교정의 최종 결과물로써 中國曆의 算法으로 되돌아간 『칠정산내편』과 西域曆을 되살린 『칠정산외편』을 동시에 편찬하게 된 연유가 어디에 있었는지를 추적하였다.

    영어초록

    More than twenty years were required for King Sejong (r. 1418-1450) and his astronomers to pursue and accomplish a unique calendar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lmost half of the entire period was required to acquire Shoushili (授時 曆), a Chinese calendar. The second half was focused on reducing the errors which occurred while predicting eclipses according to the Shoushili calendar and on establishing Korea's own calendar system, Chiljeongsan (七政算).
    In this paper, evidence of reorientation during the latter half to new goals to attain higher level tools for eclipse calculations are traced. The influence of the long period of exertion, which was devoted to gain a better prediction process and of the newly equipped astronomical instruments on the sequel system of Chiljeongsan Naepyon (七政算內篇) was also investigated. To account for the roles played by important figures during the determination of the features of the first calendar system for the Joseon dynasty, comments are added about Chiljeongnyok (七政曆), an almanac, and about Chiljeongsan Oepyon (七政算外 篇), the Korean version of a Chinese-Arabic calendar, both of which were enacted and published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aforementioned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