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산문답]에 나타난 홍대용의 공생의 생태주의 (Ecological Philosophy in Hong Dae Yong’s “Catechism of Eusan Mountain(醫山問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05
28P 미리보기
[의산문답]에 나타난 홍대용의 공생의 생태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5권 / 125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세정

    초록

    우리는 인류에게 물질적 풍요로움을 선사한 반면 인간과 자연을 공멸로 몰아가고 있는 자본주의 문명에서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는 생태문명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생태문명으로의 전환기에 있어 실학자 홍대용의 인물균(人物均)과 역외춘추론(域外春 秋論)에 함축된 생태학적 평등주의와 공생의 원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의산문답(醫山問答)에 나타난 홍대용의 생태의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 째, 인간이 동식물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하는 유자들의 인간우월주의적 사고에 대한 비판 이다. 인간의 입장이 아닌 본원적이고 보편적인 하늘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인간과 자연 물이 귀천이 없이 모두 균등(人物均)하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과 자연물의 균등의 근거 는 ‘기(氣)일원론’과 지구는 기로 구성된 살아 숨 쉬는 유기체적 존재라는 ‘지활물(地活 物)설’에서 찾을 수 있다. 기에는 귀천의 차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로 구성된 존재 물 사이에는 귀천의 차등이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다. 셋째, 문명에 대한 비판적 태도이다. 중고(中古)시대에 이르러 인간의 욕망이 증대되면서 자연에 대한 본격적인 과도한 착취 가 진행되어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조화와 공생의 관계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넷째, 차 별 없는 평등한 세상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나로부터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하늘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야만 나, 나아가 인간만이 귀하다 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럴 때 타자나 자연물은 더 이상 착취와 지배의 대상이 아 니라 내가 보살피고 돌봐주어야 하는 평등한 삶의 동반자라는 것을 자각하게 된다. 그래 야만 다른 사람, 다른 민족, 다른 나라, 나아가 다른 자연물과 평화로운 공생의 삶을 살아 갈 수 있다. 홍대용이 주장하는 존재의 균등성은 심층 생태주의의 생태학적 평등주의와 상통하고, 배려와 돌봄의 윤리는 심층 생태주의자들의 공생의 원리와도 일치한다. 이러한 인간과 자연물에 대한 평등적 사고는 ‘자연존재물에 대한 존중’과 나아가 ‘인간과 자연존재물의 조화와 공존’을 지향함으로써 서구 인간중심주의의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해 준다. 또한 성리학이 자칫 인간중심주의로 경도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 다. 나아가 홍대용이 지향하는 배려와 돌봄을 기반으로 한 공생이란 단순히 인간과 자연 과의 공생만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공생을 의미한다. 이 러한 점은 심층 생태주의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context of capitalist civilization which, on the one hand, offers material prosperity to humankind but, on the other hand, drives man and nature to the destruction, we are now at the time to change to the ‘ecological civilization’ in which man and the nature live in the symbiotic relationship. At this time, Silhak (實學) scholar Hong Dae Yong’s ecological egalitarianism and principle of co-existence – implied in the theory of ‘equality of man and things (人物均)’ and the argument named ‘outer Spring and Autumn’ (域外 春秋論) - can give us many valuable suggestions. Hong Dae Yong’s ecological consciousness rendered in “Catechism of Eusan mountain” has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the criticism against the human chauvinism in the viewpoint of Confucian scholars according to which man is superior to all other creatures. From the original and universal standpoint of the Heaven, different from that of man, man and other creatures are equal and between them there is no discrimination (人物均). Secondly, the foundation of the equality between man and other things can be found in ‘the theory of Ether (氣) as the original principle’ and ‘the theory of the Earth as a living thing (地活物)’. There is no high-low distinction in Ether, so there is nothing but the equality among all things constructed of Ether. Thirdly, the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civilization. From the Middle Ages (中古), man’s passions were so much increased that the nature was brutally exploited and as the result the ecosystem was destroyed and the harmonious and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ings in the nature worsened. Fourthly, method to achieve an equal and harmonious world. That is the way according to which man must overcome the anthropocentric standpoint to see the world from the Heaven’s position. Only with this thinking can man overcome the prejudice that human beings are the most precious creatures. At that time, man can become aware that the others or things in the nature are not objects of exploitation and domination, but the companions that are living with him and he must take care of and protect. Doing that way, the others as well as other nations, other ethnics, other things in the world will be able to live symbiotically and peacefully. The equality of existing things in Hong Dae Yong’s thought shares some common points with the ecological egalitarianism of the Deep ecology, and the moral principle of heeling and taking care of things in his theory agrees with the principle of symbiosis that the Deep ecology states. Thus his though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repair all the damages man had caused. And it can prevent the leaning towards the anthropocentrism that Neo-Confucianism nearly felt into. Moreover, the symbios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in Hong Dae Yong’s theory is not only between man and nature, but also between man and man, nations and nations, countries and countries. Thus it can be said that Hong Dae Yong’s thought offers a suggestion on how to solve the problem existing in Deep ec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