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각산 중흥산성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Jungheung fortress in Samgaksan(三角山 重興山城))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02
43P 미리보기
삼각산 중흥산성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5호 / 205 ~ 247페이지
    · 저자명 : 김성태

    초록

    이글은 고려시대 삼각산에 축성된 중흥산성에 대하여 관련 문헌을 소개ㆍ분석하고, 이를 최근의 고고학적 성과와 연결하여, 현재까지 연구가 전무한 중흥산성의 실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중흥산성은 외성과 내성으로 이루어진 이중성이었던 것은 확실하다. 또 외성의 범위는 현 중성문-기린봉-노적봉-용암봉-석가봉-문수봉-나한봉-나월봉-중취봉-현 중성문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내성은 현재 중흥사 초입의 좌우 능선을 따라 축조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축성은 문헌기록에서 전장이 9,417척(대략 2.8km)으로 기록한 사실로 미루어, 험준한 삼각산의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고갯마루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평탄한 지점만을 대상으로 축성하였던 것으로 추측하였다.
    성문은 지금의 중성문에는 서문, 용암문에는 동문, 보국문에는 동남문, 부왕동암문에는 남문이 있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 내성에도 석문으로 출입구를 만들었으며, 현 가사당암문이 위치한 고갯마루에도 석문을 설치했던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했다.
    중흥산성으로 통하는 고갯길은 5곳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외성 동문(현 용암문)의 도성령, 남동문(현 보국문)의 석가령, 남문(현 부왕동암문)의 환희령 등과, 상운사와 적석사(현 훈련도감 유영지)를 연결하는 적석령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현 가사당암문 자리에 석문을 설치했던 사실로 미루어, 지금의 백화사계곡에서 산성으로 들어오는 고갯길도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중흥산성의 초축은 문헌기록과 고고유물을 통하여 볼 때, 고려전기에 이미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북한산성의 성벽 아래에서 발견된 중흥산성의 성벽 주변에서 나말여초로 편년되는 선문 계통의 기와편이 다수 확인되고, 『고려사』의 智蔡文 열전의 기록을 통하여 거란의 2차 침입으로 현종이 피난길에 올랐을 때, 중흥산성이 이미 축성되어 있었을 개연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거란의 1차 침입 이후 고려 왕실의 보장처로 중흥산성이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편, 문헌기록을 통하여 중흥산성은 한양의 진산인 까닭에 한양산성 혹은 한양성으로 불렸고, 삼각산에 자리했기에 삼각산성으로도 불린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쨌든 『高麗史節要』의 한양산성과 『新增東國輿地勝覽』의 한양산성은 중흥산성을 지칭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Jungheung fortress in Samgaksan(三角山 重興山城). And I choose the approach which links the archaeological data on the historical recor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 First, Jungheung fortress was a structure composed of double walls. The wall was built roughly and the gates were made of stone.
    Secondly, the outline range was a line of the current Jungseongmun(中城門)-Nojeokbong(露積峰)-Yongambong(龍巖峰)-Seokkabong(釋迦峰)-Munsubong(文殊峰)-Nahanbong(羅漢峰)- jungchwibong(甑炊峰)-the current jungseongmun(中城門). And inside wall was located on the way into the current jungheungsa(重興寺).
    Third, the length is written approximately 2.8km on history records. On the basis of this, we can see that the wall was built according to natural the lay of the land. For example, We make a judgment that the wall was not built on part of a rugged rock.
    Fourth, there were four gate. there were the main gate(current Jungseongmun), the east gate(current Yongammun), the southeast gate(current Bogungmyun), the south gate(Bogungmyun Buwangdong ammun).
    Fifth, The first time of construction is judged as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I assume that the time was a period after the first invasion of the Kitan which took place in 993. This judgment is demonstrated by a A roof tile engraved motif. And I think that the purpose of construction was a refuge for country against enemy inva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