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문가의 시대’, 과학사 교육의 효용들: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넌트의 냉전 초기 ‘비대칭적’ 과학사 교양교육과 그 유산 (Uses and Functions of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in ‘the Age of Scientific Experts’: James Bryant Conant’s Asymmetric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for Science Majors and Non-Majors and Its Legacy i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8
28P 미리보기
‘전문가의 시대’, 과학사 교육의 효용들: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넌트의 냉전 초기 ‘비대칭적’ 과학사 교양교육과 그 유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53호 / 295 ~ 322페이지
    · 저자명 : 서민우

    초록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과학의 중요성에 대한 미국 사회의 공감대가 크게 확산되면서 과학교육을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고조되기 시작했다. 하버드대학의 총장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넌트가 진두지휘한 하버드 교양 과학사 프로그램 ‘자연과학 4(Natural Sciences 4)’는 그 대표적 기획 중 하나였으며, 그 기획은 토머스 쿤이 물리학자에서 과학혁명의 구조의 저자로 이력을 전환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과학혁명의 구조의 저자 토머스 쿤을 바로 이러한 20세기 중엽 과학교육 개혁의 흐름 속에 역사적으로 위치 짓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그의 이력 초기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코넌트의 과학사관과 과학사를 통한 과학 교양교육의 이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코넌트는 과학의 시대를 주도할 엘리트 시민들이 과학의 작동 방식에 대해 너무도 무지하다는 것을 염려하며, 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비과학도를 대상으로 과학사 교양교육을 기획하고 실제 운영하기까지 한 인물로서 과학사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지금껏 코넌트에 대한 연구들이 세심하게 따져보지 않은 측면은 코넌트가 비과학도뿐 아니라, 과학도에게도 역사 교육의 효용이 있음을 주장했고, 무엇보다 과학도와 비과학도에게 매우 상반된 형태의 과학사 교육을 제안했다는 사실이다. 이 논문은 코넌트가 서로 다른 학생 집단에게 각각 어떤 과학사 교육을 제안했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냉전 초입 과학사와 과학교육사의 교차 속에서 과학사의 교육적 가치가 어떤 방식으로 논의되었는지 더 대칭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토머스 쿤의 과학사관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역시 잘 알려져 있듯, 쿤은 ‘과학혁명’을 통한 과학사의 ‘불연속적’ 발전을 주장하며, 그러한 과학사의 독특한 발전 양상이 오랫동안 인식되지 못한 이유를 교과서적 과학사의 이미지에서 찾은 바 있다. 그런데 지금껏 학자들은 쿤이 어떻게 해서 그런 견해를 갖게 되었는지 그 역사적 맥락을 따져 묻지 않았다. 이 논문은 그 답을 일부나마 코넌트의 과학사 교양교육 프로그램에서 찾아볼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World War II, a growing consensus emerged in American society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science, which led to rising calls for the reform of science education. One notable initiative was the Harvard General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the case-based history of science, Natural Sciences 4, championed by Harvard’s then president, James Bryant Conant. This program is well known for its pivotal role in Thomas Kuhn’s transition from physicist to the author of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situate Kuhn within the context of mid-twentieth-century reforms in science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various uses and functions of Conant’s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 broader ideology of general education. Conant has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from historians for his concern that the future leaders of the scientific era were notably ignorant of the workings of science and its practices. In response, he designed and implemented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ase-based history of science, particularly tailored for nonscience majors. However, a much less examined aspect of Conant’s work is his advocacy for the utility of history education for scientists as well as nonscientists; moreover, he proposed distinct forms of history education for each group. By analyzing both Conant’s proposals for history education and the rationale behind them, this paper seeks to present a more balanced perspective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science history as debated during the early Cold War period. This analysis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Kuhn’s view of the history of science. Kuhn famously argued for a “discontinuous” evolu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through “scientific revolutions” and criticized the textbook image of science history, which he believed had made this peculiar development unrecognized for so long. Yet, scholars to date have not asked how Kuhn came to this view in historical contexts. This paper seeks to answer this question by examining Conant’s conceptions of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and criticism of the textbook image of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