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울주 雲興寺의 刊行 木版 연구 (A Study on Woodblock Publish of Unheungsa Temple, Ul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8
23P 미리보기
조선후기 울주 雲興寺의 刊行 木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23호 / 105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동현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울주 운흥사에서 간행한 목판에 관해 서술하였다. 운흥사에서 목판을 간행할 수 있었던 배경과 각 목판의 현황을 알아볼 것이다. 이를 통해 목판 제작자들을 분석해 운흥사 목판의 간행체계를 밝혀내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던 운흥사 목판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한다. 운흥사는 17세기부터 불경 목판을 제작하여 약 41년간 16종 676판의 목판을 제작하였다. 이는 당시 조선이 혼란스러웠음에도 목판 제작에 필요한 요소들을 두루 갖추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제작된 목판은 현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운흥사 목판은 대체로 판각을 주도한 인물과 참여자에 변화가 적은 편이다. 그리하여 원각사본을 저본으로 한 『금강경』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서지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제작된 목판 권말의 후발문에는 목판 제작에 참여한 인물들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운흥사 목판 제작 체계를 알 수 있었다. 운흥사에서 간행된 16종의 목판에 제작 참여자를 참여 횟수 및 역할 등을 분류해 본 결과 5회 이상 참여자는 총 39명이고, 4회 이하 참여자는 31명으로 조사되었다. 60여명의 참여자들은 운흥사 목판제작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당시 운흥사는 목판을 제작하기에 필요한 조건, 즉 각수를 비롯한 전문가, 불서의 내용에 해박한 지식을 갖춘 학승(學僧), 목판 제작 기획 및 실무를 맡은 승려 그리고 보시자 및 시주자 등 인적‧물적 자원을 모두 갖추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규모 목판을 제작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운흥사에서 목판 제작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woodblocks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at Unheungsa Temple in Ul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will examine the background of Unheungsa Temple ability to publish woodblocks and the current status of each woodblock. Through this, we analyze the woodblock makers to reveal the publishing system of Unheungsa Temple woodblocks, and try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Unheungsa Temple woodblocks, which has been insufficiently researched so far.
    Unheungsa Temple has been making woodblocks of Buddhist scriptures since the 17th century, producing 676 woodblocks of 16 types for about 41 years.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Joseon Dynasty was chaotic at the time, but it had all the elements necessary for woodblock production. The produced woodblock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Tongdosa Temple Seongbo Museum. The woodblock of Unheungsa Temple show little change in the characters and participants who led the engraving. Therefore, it shows similar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the Diamond Sutra.>, which is based on the original manuscript of Wongaksa Temple.
    In the latter part of the produced woodblock volume, the characters who participated in the woodblock production we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woodblock production system of Unheungsa Temple at that time.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number and roles of participants in the production of 16 woodblocks published by Unheungsa Temple, a total of 39 participants participated more than 5 times and 31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less than 4 times. About 60 participants played a key role in the woodblock production of Unheungsa Temple.
    At that time, Unheungsa Temple had the necessary conditions to produce woodblocks, namely, experts including gaksu, scholars with extensive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Buddhist books, monks in charge of planning and working on woodblocks, an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uch as donors and donors. have all of Based on this, large-scale woodblocks could be produced. Therefore, woodblock production could be operated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