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남시 폐사찰 法輪寺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Beopryunsa Temple of the Closed Temple in Seongnam-si)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5
46P 미리보기
성남시 폐사찰 法輪寺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78호 / 3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엘리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성남시 옛 사찰 법륜사의 위치를 비정하고, 창건과 폐사까지 법륜사의 역사를 고찰하였으며, 남아 있는 법륜사의 문화재를 추적해 보았다. 현재 법륜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 사찰이지만, 조선시대에 왕실과 연계된 사찰이었고, 조선 후기 광주부를 대표하던 사찰이었다. 하지만 19세기 말 이규승이 제작하여 법륜사에 봉안한 <신중도>와 <감로도>만이 현재 서울 <지장암 신중도>와 <지장암 감로도>라는 이름으로 남아 법륜사의 실재를 증명해주고 있을 뿐이다.
    현재 남아 있는 두 불화의 가치를 부여하고, 성남시 불교문화의 한 단면을 복원해 보고자 사라진 사찰 법륜사에 관하여 고찰해 보았다. 성남시 탄리사지(태평동사지)로 명명되는 지역을 법륜사지로 확정하였다. 창건 시기는 인조대 또는 숙종대로 추정된다. 인조대 창건설에 무게를 두고 분석하면 법륜사는 영창대군의 원찰로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법륜사는 19세기 말 이규승이 평원·제안대군의 사손이 되면서 두 대군의 제향 공간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법륜사는 이규승과 이용호 부자의 원조를 받으며 운영되었다. 1916년 이용호가 사망하자 그의 묘사로 쓰이다가 지원이 끊겨 폐사의 수순을 밟게 되었다. 1939년에 사찰 자산과 신도가 서울 창신동 지장암으로 이전하면서 폐사되었다. <지장암 신중도>와 <지장암 감로도> 외에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범종이 법륜사의 문화재임을 살필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he location of Beopryunsa Temple in the old temple of Seongnam City was irregular, and the history of Beopryunsa Temple was considered until its foundation and closure, and the remaining cultural assets of Beopryunsa Temple were tracked. Beopryunsa Temple is a temple that disappeared into history, but it wa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represented Gwangju-b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only <Sinjungdo> and <Gamrodo>, which were produced by Lee Kyu-seung and enshrined in Beopryunsa Temple in the late 19th century, remain under the names of <Jijangam Sinjeongdo> and <Jijangam Gamrodo> in Seoul, proving the reality of Beopryunsa Temple.
    The main office considered about the temple's Beopryunsa Temple, which was disappeared to restore a section of the Buddhist culture in Seongnam City. The area, which is known as the Tanri Temple Site (Taepyeong-dongsa Temple Site) in Seongnam City, has been designated as the Beopryunsa Temple Site. The time of its founding is estimated to be in King Injo's or King Sukjo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hat Beopryunsa Temple was founded by Yeongchangdaegun's original building. If the construction of the Injodae was established, Beopryunsa Temple was the original building of Yeongchangdaegun.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Yi Gyu-seung became the son of King Pyeongwon and Prince Jian, Beopryunsa Temple was the place of the ancestral rites of the two great armies. Since then, Beopryunsa Temple has been operated with the support of Lee Kyu-seung and Lee Yong-ho's father and son. When Lee Yong-ho died in 1916, his description was used as his description, but his support was cut off, leading to his death. In 1939, the temple assets and shrines were relocated to Jijangam in Changsin-dong, 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