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玄齋沈師正의 四君子畵硏究 (Shim Sa-jeong and His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06
21P 미리보기
玄齋沈師正의 四君子畵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0호 / 7 ~ 27페이지
    · 저자명 : 백인산

    초록

    심사정은 전대의 전통을 계승하고, 외래에서 유입된 새로운 화풍을 수용하여 독특한 감각의 사군자화를 창안하였다. 전대의 전통은 사생의 바탕위에 압축적인 구도와 서예적 필치, 강렬한 대비를 통해 기세를 온축시키면서도 생동감을 고양시키는 데 주력했던 李霆, 魚夢龍, 趙涑으로 대별되는 조선중기 사군자 화풍을 지칭한다. 그리고 외래의 화풍은 明代 문인화풍으로 陳淳과 같은 吳派系 화가들의 사군자화와 당시 조선에서 크게 유행하던 『芥子園畵傳』, 『十竹齋書畵譜』와 같은 사군자화가 다량으로 전재된 明淸代 畵譜들에 많은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심사정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성 넘치는 자기만의 사군자화를 그려내었다. 심사정의 사군자화에서 보이는 가장 뚜렷한 특징은 墨戱의 필치로 寫意性을 강조한 것과, 풍부한 회화성을 바탕으로 시정과 서정성을 고양시킨 점이라 하겠다. 이는 서예적인 필치를 준수하여 군자의 상징성을 극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던 사군자화에 대한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낫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심사정은 사군자가 지니는 전형적인 상징성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일반적인 화훼화와 같은 인식과 감각으로 사군자화를 그려내었다. 현존하는 그의 사군자화 중 회화성이 가장 풍부한 국화의 비중이 유독 큰 점이나, 수묵보다는 채색 사군자화가 많은 점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군자의 소재를 적극적으로 화훼화에 결합시킨 그림을 적지 않게 남기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심사정은 조선시대 사군자화의 흐름에서 의미있는 변곡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사군자화에서 보여준 새로운 시도와 성취는 조선중기 사군자화와는 확연하게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묵죽화의 대가인 柳德章이 조선중기의 전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나, 스승인 鄭敾의 국화 그림이 사실성에 천착하고 있는 것과도 분명한 차별성을 보여준다. 이런 그의 사군자화는 조선후기 사군자화의 전개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보이게 된다. 姜世晃, 崔北과 같은 동시기 화가들은 물론이거니와 金弘道, 林熙之, 申緯 등의 사군자화풍에 직간접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화보를 위시한 명청대 문인화풍의 적극적인 수용은 강세황과 공유했던 바이고, 회화성의 극대화를 통한 시정의 고취는 김홍도의 사군자에서 주로 나타나며, 묵희적인 필묵은 최북, 임희지, 신위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심사정의 사군자화는 그의 회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 그러나 그의 사군자화는 18세기 후반 왕성하게 전개되었던 조선 화단의 남종문인화풍의 수용과 朝鮮化라는 과정을 또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대두되는 사군자화풍을 예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의미와 위치가 결코 작지 않다.

    영어초록

    Shim Sa-jeong(1707-1769) created the unique style of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succeeding the tradition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adopting the a new foreign style. In other words, the former is that of the mid-Joseon period which Yi Jeong, Eo Mong-ryong, Jo Sok represented and was characterized by compressed composition, calligraphic brushwork,and striking contrast, summarizing high spirit and enhancing vitality, and based on the concept of "Picture-like"(寫生). The latter is the literati style of Ming and Qing dynasties which includes painting manuals such as Mustard Seed Garden Painting Manual(『芥子園畵傳』) and Treatise on the Paintings and Writings of the Ten Bamboo Studio(『十竹齋書畵譜』) rather than Wu school(吳派) painters like Chen Chun(陳淳). Those manuals, containing a great number of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had been widespread in the late-Joseon period, as well as Shim referred to these like along with his other subjects.
    In this process, Shim accomplished his own Four Gracious Plant painting style, assimilating these various elements. His individual style emphasized the expression of sentiments, "Picture-Idea"(寫意) and the formation of sentimental mood by means of the spontaneous brushwork and rich pictorialness. Of course, his most distinct variation resulted from a break with existing ideas of Four Gracious Plants and these associated paintings, which expressed the essential qualities of the virtuous man, such as fidelity and integrity by calligraphic brushwork. Instead, Shim recognized these subjects as material of general flower paintings and visualized the same aesthetics. The most pictorial subject, the chrysanthemum, formed the greater part of his extant works of Four Gracious Plants, and was often expressed in color rather than ink.
    Shim's above mentioned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differ from those of the mid-Joseon period in many respects. Specifically, considering that his predecessor Yu Deok-jang had not yet broken free from the previous tradition, and that his teacher, Jeong Son persisted in the realistic description in chrysanthemum painting, Shim's work constitued a meaningful turning point of the Four Gracious Plant painting in the whole Joseon art history.
    Consequently, Shim influenced upon both his own and succeeding generations profoundly. Not just contemporary painters like Gang Se-hwang and Choi Buk, but also Kim Hong-do, Yim Hui-ji and Shin Wi were influenced by his style directly or indirectly. Shim's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can be used to reexamine his role and position in Joseon art history, as they both reflected the prevalence of the Southern scholar painting style in 18th century and foreto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equent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