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謝施子 南克寬의 시문학 (A Study on the poems of Sasija Nam, Keug-kw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1.07
30P 미리보기
謝施子 南克寬의 시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0호 / 157 ~ 186페이지
    · 저자명 : 박수천

    초록

    남극관은 조선 숙종조의 문인으로 26세의 짧은 인생을 살았던 사람이다. 늘 병고에 시달려 집안에서 소일하는 날이 많아 자연히 독서에 침잠할 수 있었다. 그의 깊고 다양한 독서체험은 그의 문학의식을 형성하게 했고 또한 그의 문학 작품의 문학성을 높이기도 했다. 그는 20세 때 生員試에 나가 2등으로 급제를 해 주변 사람들로부터 그의 문학적 역량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그 이후 지병이 악화되어 집안에 칩거하며 치병에 전심을 하게 되었다. 신병이 깊어진 이후 남극관에게 독서는 거의 일상생활이었다. 독서를 하면서 그는 그것을 孔子의 學琴 태도에 비유하며 이면의 깊은 뜻까지 파악하고자 하는 태도를 가졌다.
    남극관은 평소의 깊은 독서에 기반해 명대 公安派의 袁宏道가 개진한 문학론에 상당한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때 당시에 조선의 문단에는 公安派의 문학론이 매우 넓게 퍼져 있었는데, 남극관도 袁宏道의 글을 읽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기록해 놓았다. 袁宏道가 擬古派를 비판하며 작품의 개성과 독창성을 강조한 논리에는 동조를 했지만, 그 논의의 부정적 측면을 함께 거론하였다. 남극관은 이런 자신의 관점을 확장하여 당대 老論가의 핵심 인물인 金昌協의 문학론에도 거침없는 비판을 하였다. 金昌協의 문학론이 작품의 思致에만 치우쳐 그 氣格을 중시하지 않았던 점을 지적해 반박을 한 것이다. 公安派들이 擬古論을 부정하면서 宋詩에 대한 가치가 재조명되었는데, 남극관은 公安派의 논리에 공감을 가지면서도, 宋詩의 문학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갖지 않았다. 그는 唐詩를 전범으로 하면서 唐詩의 단순한 모방을 지양하고 그 본래의 정신인 개성과 독창성의 모습을 중시하였다.
    남극관의 시작품에는 대체로 밝은 이미지가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가 남긴 작품수가 많지도 않거니와 그의 평생 신병에 의한 답답함과 우울함이 자주 작품에 드러났기 때문이다. 자신은 生員試 이후 大科에 나아가 입신을 하고 싶었으나 병으로 인해 그런 희망을 접고 집안에 칩거해야 했기에, 작품의 전체적 意境에 이런 작가적 모습이 반영된 것이다. 남극관은 기본적으로 시는 氣格을 중시해야 한다는 주장을 단언적으로 제시했다. 金昌協이 鄭斗卿의 시를 낮게 품평한 것에 대해 반론을 펼치면서 氣格의 측면으로 보아 鄭斗卿이 우리나라 조선조 삼백 년 이래 최고의 시인이라는 비평을 하기도 했다. 남극관은 氣格과 함께 시작품에서 자신만의 개성적 정감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남극관 시작품의 문학성은 그의 작품에 나타난 풍부한 서정성에서 독자적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타고난 문사의 감수성으로 주변의 경물을 포착하고 이를 자신의 언어로 조탁해 내는 재능은 당대의 문인들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작품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Sasija(謝施子) Nam, Keug-kwan(南克寬) was a famous poet during King Sookjong(肅宗) period in Chosun(朝鮮) dynasty. He lived only 26years, but his poems and his literary thoughts were received attention between literary writers. He had suffered a deep disease, he was restricted in his behavior he couldn't go outside freely. He liked reading all the days remaining his room. His wide reading made his study and knowledge very deeply. He had concerned literary as an excellent writer, and he accepted Chinese literary thoughts. He had criticized Chosun(朝鮮)'s current literary trend, and he showed his own thoughts about literary criticism. He understood Tang style(唐風) as a highest state on the poem, but he rejected immoderate imitation. He accepted the theory of personalism and originality, he wanted to show his own personalism with significant and aftertaste by Tang style(唐風). He put emphasis on the personalism and originality writing his poems, and he expressed his own abundant individual emo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