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浮石寺 三身三世佛掛佛圖 硏究 (A Study on the Trikaya and Three-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at the Buseok-sa Templ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2.12
18P 미리보기
浮石寺 三身三世佛掛佛圖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9호 / 121 ~ 138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부석사 <삼신삼세불괘불도>는 현재 2 점이 알려져 있다. 한 점은 1684 년 작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다른 한 점은 부석사에서 봉안하고 있는 1745 년 작 <삼신삼세불괘불도>로 1684 년 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을 바탕으로 하여 조성되었다.
    부석사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 불교회화의 여러 주제들 가운데 하나로서, 임란 이후 비로자나불 위주의 화엄사상과 석가모니불 중심의 법화사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도상으로, 첫째, 부석사 괘불도는 한 화면을 상·하 2 단 배치법을 보여주는 구성으로서, 상단의 삼신불이 하단 석가불 위주의 영산회도를 보완해주는 독특한 구도이다. 비로자나불 중심의 삼신불과 석가불 중심의 삼세불이 결합된 오불회도의 도상특징은 조선 전기로부터 시작되어 부석사 괘불도에서 정점을 이룬다. 1684 년과 1745 년에 조성한 두 점의 부석사 괘불도는 규모나 작품성에 있어 당대를 대표할 수 있는 불화로 17-18 세기 조선조 괘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둘째, 1745년 작 부석사 괘불도는 1684 년 작 괘불도를 바탕으로 하여 사상적인 면에서는 다를 바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구도, 형태, 색채에 이르기까지 양식적인 면에서 차이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18세기 중엽으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불화로서 그 가치가 평가된다. 셋째, 참여화사로는 서기(瑞氣)․자인(自仁)․ 유성(有誠)등 15 인이 동참하였음이 파악된다. 그 중 ‘자인’은 봉정사 감로왕도(감로왕도) 조성 시 수석 화원으로 활약하였고, 동참 화원 ‘유성’은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임한(임한)’의 화풍을 계승하여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이렇듯 괘불도의 화기를 통하여 두 괘불도 간의 관련성이 짐작된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known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三身三世佛掛佛圖) at the Buseok-sa Temple (浮石寺). One was created in 1684 and is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other was created in 1745 and is currently enshrined at the Buseok-sa Temple. The latter was created based on the former in 1684.
    The icon of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at the Buseok-sa Temple is one of various themes of Buddhist art in the Chosun Dynasty, and represents compositely the Hua-Yen thought centering on Vairocana Buddha and the lotus-sutra thought centering on Sakyamuni Buddha. In addition,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study. First,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s (畵記),when ton, and the , respectage c,ner prepresentatage works ina and mpletcrtistry, and i Buddhvndudhie as historical materials inaresecrch on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18th centuries of the Chosun Dynasty. The two the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s created in 1745 was based on the painting created in 1684, so it shares the thought of the earlier one.
    However, it has clear distinctions in style from composition to form and color. In this sense, this work is valued as a Buddhist painting showing transition to the mid 18th century. Third, it was found that 13 monk painters were involved in these paintings including Seogi (瑞氣), Jain (自仁) and Yuseong (有誠). Among them, ‘Jain’ worked as the chief painter in creating the Bongjeong-sa Amita-raja painting, and co-worker ‘Yuseong’acted in the Gyeongsang-do region, inheriting the painting style of ‘Imhan (任閑)’ who worked mainly at the Tongdo-sa Temple. These painting records of the Buddhist banner paintings suggest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