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읍사>의 후대적 전승과 변용 양상 (The conditions of the transmission and transfiguration of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2.06
33P 미리보기
&lt;정읍사&gt;의 후대적 전승과 변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47호 / 75 ~ 107페이지
    · 저자명 : 하경숙

    초록

    <정읍사>는 다른 고전시가(詩歌)와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동안 유동과 적층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었다. 남편에 대한 지고지순한 아내의 정절(貞節)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까지도 추앙받을 뿐만 아니라 시공을 초월하여 후대에까지도 지속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읍사>는 현대시⋅현대소설⋅뮤지컬 등 여러 장르로의 소통을 통하여 수용(受用)되는데, 이는 복잡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대중들에게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정읍사>는 단순히 고대가요로 가창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로의 모색을 통하여 생명력을 지속하고 있다. 백제가요 <정읍사>는 오랫동안 대중들에게 가창되어 오면서 내재된 보편적인 정서나 작가의 주제적 변이를 통해 문학적인 콘텐츠로서도 그 가치와 활용을 높이 평가받게 했다. 백제가요 <정읍사>가 ‘간절히 남편을 기다리는 처(妻)의 노래’는 소극적인 여성을 노래했다면, 현대적으로 변용한 <정읍사>의 작품들에서는 여성의 개성적 심리를 밝히고자 하는 부분으로 변용하여 현대의 독자로 하여금 흥미를 느끼게 했다.
    <정읍사>는 민중의 노래이면서 궁중의 노래이기도 하다. 시간과 공간, 성별과 계급을 초월하여 가창되었다. 그것은 이미 오래전에 그 유연성을 검증(檢證)받았다는 증거이고, 세대를 초월해서 현재까지도 대중의 관심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이처럼 <정읍사>를 후대에 와서 변용한 창작자들은 단순히 백제나 고려의 노래로만 규정하지 않고 현실의 노래로 가창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대중의 현실이나 시대의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면서 지향하는 바를 성실하게 묘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Jeongeup-sa>, like the other classic poetry, have been made through a long time of liquidity and lamination. The fact that it holds the fidelity of a wife towards her husband makes it revered still and passed down to this day.
    <Jeongeup-sa> were passed down by changing in to various genres, such as modern poem⋅modern novel⋅musicals and so on, and these are sending a powerful message to the viewers who ar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Jeongeup-sa> did not stop at just being a ancient poetry, it continued its life through changes into various genre. The change in the subject of the overall sentiment or the writer of the poem of Baekje, <Jeongeup-sa>, which has been sung by the people for a long time, is valued highly as a cultural content. If <Jeongeup-sa>, 'a song of a wife longing for her husband', has been singing about the passive female, the modern changed version, is chang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psychology and therefore arouses the interest of the modern readers.
    <Jeongeup-sa> is both a song of the people and the palace. It was sang regardless of the time, place, gender, and class. This is a proof that shows that its flexibility were verified long time ago, and still to this day, it is loved by the public. <Jeongeup-sa> did not just position itself as a song of Baekje or Goryeo, it showed continuous effort to become a modern song. Therefore, it reflects the modern reality or the portrait of the current times and expresses their go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