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 청련사 봉안 불화의 특징과 의미 (Significance and Idiosyncrasies of the Buddhist Paintings at Cheongnyeon-sa Temple in Yangju)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8
45P 미리보기
양주 청련사 봉안 불화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11권 / 337 ~ 381페이지
    · 저자명 : 유경희

    초록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개명산(開明山)에 위치하는 청련사(靑蓮寺)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대표 사찰이다. 청련사는 원래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88번지 종남산(終南山) 무학봉(無學峯) 기슭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다가 근ㆍ현대기 불교 종단의 갈등과 해결책으로 2006년 왕십리에서 양주로 이건(移建) 결정이 이루어졌고 마침내 2010년 6월부터 경기도 양주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청련사에 봉안된 불화는 12건이 현전되고 있다. 현재까지 청련사 불화에 대해서는 학위논문을 비롯한 여러 보고서에 일부 소개된 바 있다. 이 글은 필자가 2017년 청련사 소장 불화를 전수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19세기부터 현재까지에 이르는 청련사의 역사를, 불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청련사에 소장된 불화는 1866년 <치성광여래도>로부터 1970년대 <팔상도>에 이르기까지 주로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조성된 불화가 주를 이룬다. 그 가운데 가장 이른 연대의 기록을 보이는 <치성광여래도>는 화기에 복장시주(服藏施主)로 두 명의 상궁 이름이 확인된다. 이어 1880년에 조성된 <아미타불회도>, <현왕도>, <감로도> 세 점은 여러 상궁의 후원 속에 조성된 불화로 의미가 있다. 짜임새 있는 구도, 세밀한 필치, 표현 기법 등에서 불화승 축연의 기량을 살필 수 있는 불화로도 주목된다. 이 외에도 민간인들이 시주와 후원 속에 조성된 불화도 봉안되어 있다.
    청련사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청련사지(靑蓮寺誌)」에는 1849년 중창에는 시주를 권면하는 상궁의 이름이 적혀 있다. 이어 5년 뒤에는 왕실의 인척인 홍현주와 영의정을 역임한 권돈인이 불사를 시주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불화의 조성 기록에서 1880년 조성 불화 이외에 상궁이나 왕실의 인사가 후원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지만 청련사는 왕실 인척이나 당대의 권력가, 왕실과 관련된 상궁들의 불사(佛事) 후원을 집중적으로 받았으며 불화와 불전(佛殿)의 구조상 왕실의 원당으로서의 특징을 보인다.
    청련사 불화는 19세 말~현대에 이르기까지 청련사의 역사를 고증하는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19세기~20세기까지 불화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 후원자와 화승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로 의미가 깊다.

    영어초록

    Cheongnyeon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the Gaemyeongsan Mountain in Seokhyeon-ri, 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is a major Buddhist temple associated with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temple was originally located in Wangsimni, Seongdong-gu, Seoul; and then in June 2010, it was moved to Yangju, Gyeonggi-do.
    Currently, twelve paintings are housed at Cheongnyeon-sa Templ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of the temple from the 19th century up to the present based on a research conducted by the author with a primary focus on Buddhist paintings.
    Most of the Buddhist paintings at Cheongnyeon-sa Temple were produced betwee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oldest painting according to documents-Chiseonggwangyeoraedo (a painting of Tejaprabha Buddha)-bears a statement that contains the names of two court ladies who supported its production. Three paintings that were produced later in 1880—Amitabulhoedo(Buddhist paintings of the preaching assemblies for Amitābha), Hyeonwangdo(a Yamaraja Painting), Gamnodo(a Nectar Ritual Painting)—are important in that they were made under the patronage of several court ladies. They are noteworthy as they exemplify the skills of a master monk painter named Chukyeon through their structural composition, detailed brushstrokes, and method of expression. Som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under the patronage of civilians are also kept in the temple.
    In Cheongnyeonsaji (the journal of Cheongnyeonsa), the name of a court lady is mentioned as its main patron who made a donation to reconstruct the project in 1849. After five years, the names of a royal relative, Hong Hyeongju, and a former prime minister, Gweon Donin, were recorded as patrons of such projects. Records that show royal patronage are rare except for those of some paintings produced in 1880. Nonetheless, Cheongnyeon-sa Temple enjoyed heavy patronage from royal relatives, influential figures, and court ladies connected to the royal family. These Buddhist paintings and hall structures also reveal some characteristics of a private temple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The paintings at Cheongnyeon-sa Temple are important resources in the investigation of its histor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Furthermore, they are important pieces of evidence that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iconographic features and stylistic idiosyncrasies of Buddhist paintings at the time, as well as their patrons and painter-mon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