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힌디어 경동사의 재해석과 분류 (Reinterpretation and Classification of Light Verb in Hind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05
28P 미리보기
힌디어 경동사의 재해석과 분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21권 / 1호 / 109 ~ 136페이지
    · 저자명 : 고태진

    초록

    경동사와 조동사는 보편적인 언어문법 범주로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마다 그 구분과 범주화가 명확하지 않아 뒤섞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경동사는 조동사의 한 종류로 간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벡터동사, 해설동사, 조동사, 기능동사, 보조동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욱이 경동사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가 발단, 완성, 수혜, 급격, 고의, 강요 등 의미적 기능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그 속성 및 분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나 경동사는 통사론적으로 조동사와 다른 성격의 동사이기 때문에 반드시 구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힌디어의 경동사 구문에 대한 통사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경동사가 조동사 및 본동사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새로운 범주화를 통해 그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학자마다 그리고 언어마다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는 경동사를 과연 문법적 요소의 하나로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 그간 경동사는 ‘명사/형용사+동사’, ‘부정사+동사’, 조동사 등의 구문에 나타난 보조동사로 분류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경동사는 시제와 일치 요소를 수반하고 의미적 뉘앙스를 풍기는 복합동사에 나타난 두 번째 동사만을 지칭해야만 한다. 이러한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본고는 명령법, 수동태, 음운반복, 어순도치, 그리고 능격후치사와 관련된 통사론적 측면에서 조동사와 경동사를 구분하고자 한다. 또한 오직 본동사만이 대격의 위치에 놓인 논항에 대해 격을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경동사와 본동사 간의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lthough light and auxiliary verbs are generally regarded as universal linguistic terms, most approaches do not make any distinction between them. This is because no viable studies have been done which can cast light on the categorization of various kinds of verbs across different languages. Thus light verb has often been classified as a type of auxiliary verb. And it is known by various appellations in the literature such as vector, explicator, auxiliary, operator, helping verb etc. Moreover light verb has often been researched and characterized as semantic functions such as inception, completion, benefit, suddenness, volitionality, forcefulness and so on. However light verb and auxiliary verb must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on syntactic grounds although several features are morphologically shared between them.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a brief survey of light verb and illustrates how light verb can be distinguished from auxiliary verb and main verb on the basis of syntactic diagnoses in Hindi.
    Given that the concept of light verb is used in the various ways presented by different scholars, a question that arises is whether light verb can be defined as a distinctive grammatical element. There is a tendency to categorize light verb as involving complex predicates such as noun/adjective-verb, infinitive-verb, some auxiliary verbs etc. But light verb only refers to a secondary verb of the compound verb constructions that carries features of tense and agreement, and does convey its attitudinal information or other lexical nuances. To prove this argument, this paper suggests five criteria to serve to distinguish auxiliary from light verb, since none of the auxiliary verbs can be used in imperative form, passive form, reduplication, topicalization and ergativity. And this paper also finds the difference between main and light verbs with respect to case assignment. While main verb can assign the case to its argument, light verbs is restricted to license the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