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향토사와 관련된 김영하의 시문연구 (A Study on Kim Youngha’s Poetry Related with Local Hi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06
29P 미리보기
향토사와 관련된 김영하의 시문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9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손호정

    초록

    춘천의 ‘국사봉망제탑(國士峰望祭塔)’비문에 새겨진 시문을 근거로 향토시인 김영하(金泳河)를 추적해 보았다. 김영하는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를 거쳐 6.25동란과 광복 등 민족 수난의 시대를 살아온 춘천의 선비이자 시인이었다. 특히 고종황제의 승하 때에는 이 고장 선비들을 모아 국사봉에서 망제와 삼년상을 올리고 그 애통함을 시문으로 남기는 등 우국지사의 모습을 보였다.
    나아가 김영하는 춘천의 역사와 풍물을 기록한 『수춘지(壽春誌)』를 지었다. 그는 이 지리서에 경물과 지명마다 이 고장에 전해오는 시문을 담았다. 그리고 그 시문 끝에 자신의 시문을 싣고 있다. 이런 점은 『수춘지』를 한 지방의 지리서인 동시에 우국애향의 정신을 담은 김영하의 문집으로도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수춘지』에 담은 그의 시 35수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국사봉망제시>에는 그의 우국충정이 절절히 배어있다. 누운(淚韻)을 거듭 써서 통곡과 눈물의 정황을 극대화하는 독특한 양상을 보여 당시 망제에 참여한 이들이 그대로 창화(唱和)하여 읊었다. 그리고 그 산은 국사의 정기가 서린 곳으로 지역민들로부터 사랑받게 하였다.
    둘째, 춘천의 경승을 알리고자 고사와 더불어 읊은 산수경물 시에는 그의 향토애가 핍진하게 녹아 있다. 특히 그의 고시 <소양정중수주련(昭陽亭重修柱聯)>시는 1수에 21개 경물과 고사를 용사하였다. 이 시 한수만으로도 춘천의 풍경과 역사를 거의 알아 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조화하고, 계절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바라보는 시점(視點)을 달리 하여 그 진수를 맛볼 수 있게 해 주었다.
    셋째, 작가 자신의 느낌만을 읊은 서정시에서도 그의 내면에 응어리진 우국의 정신을 읽을 수 있었다. 특히 <소양강>시에서는 나라를 잃고도 어찌할 수 없는 선비의 비애, 억눌려 뭉쳐진 응어리를 억야(億夜)와 만루(萬樓)라는 과장법을 통해 엿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poetry of local poet Kim Youngha, based on his poems inscribed on the “Tower for Ancestral Rites at Kuksabong in Chuncheon.” He is a classical scholar and poet in Chuncheon who had lived through the era of national sufferings from the late Joseon, the era of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o the era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on the demise of Emperor Gojong, out of his patriotism, he rallied the classical scholars in Chuncheon, performed sacrificial rites once per year for three years at Kuksabong and left the poems containing his grief behind.
    In addition, he wrote “Suchunji,” containing the history and things in Chunchon. In this geographic book, he described scenery and poetry handed down in each place, adding his own works at the end of the poetry. This can make “Suchunji” the collection of Kim Youngha’s works containing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love of his native place as well as a local geographic book.
    Analysis of his 35 poems in his “Suchunji” show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Poem for Ancestral Rites at Kuksabong” is full of his patriotic sentiment. In the unique way of his own, he maximized the situation of wailing and tears with the repeated use of “Lu(淚: tears)” rhyme, making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ite use the same rhyme sequence of the poem. In addition, the mountain was loved by the local residents, since it was regarded that it had received the vital force of the classical scholar.
    Second, reciting scenic beauty of Chuncheon along with the related stories, his poems are full of his local patriotism. In particular, one piece of his ancient poetry “Couplet to Commemorate Rebuilding of Soyang Pavilion” recited 21 pieces of scenery and their related stories. Their space was structuralized and their viewpoints varied according to change of season and time, letting their essence be tasted. Therefore, we can imagine that this piece alone can make us realize almost all of the scenery and history in Chuncheon.
    Third, even in his lyric poems that recited his own feelings, we can read his patriotism that had been clotted in his inner side of the mind. In particular, in his poem “Soyang River,” through his exaggeration of “one hundred million nights(億夜)” and “ten thousand towers(萬樓),” we can read out grief and resentment of the classical scholar who have no alternative even though his country has been lost.
    In conclusion, we can find out that a study on Kim Youngha and his poetry, who had lead the era, is very valuable in understanding local emotion and culture as well as in inheriting our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