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 복권과 문학사 기술의 관련 양상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instatement of Kwangsoo Lee and Literary Histo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12
32P 미리보기
이광수 복권과 문학사 기술의 관련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9호 / 191 ~ 222페이지
    · 저자명 : 공임순

    초록

    2016년 문협(한국문인협회)은 좌절되기는 했지만 최남선과 이광수 문학상을 제정한다고 발표하여 한 차례 논란을 빚었다. 아마도 한국 사회에서 이광수는 김구와 더불어 그 네이밍(naming)이 문제되는 드문 인물 중의 하나일 것이다. 최인훈은 1966년 연재된 『서유기』에서 작중인물의 상상과 관념을 빌려 이광수를 등장시킨다. 여기서 그는 『흙』의 허숭의 삶을 이광수 자신이 식민지 말기에 직접 구현했다는 제국 헌병의 논리에 맞서 『흙』의 속편을 자신이 썼어야 했다는 이광수의 자기 참회와 고백을 선보인다. 이광수가 소위 말했다고 가정되는 『흙』의 속편이란 한국 사회의 두 문제되는 인물이기도 한 김구가 있는 상해행의 티켓이었으며, 이 티켓은 지식인이 머물 자리를 실현된 과거(친일)에 대비되는 실현되지 않은 미래형의 과거(항일 또는 망명)로서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이광수의 친일 문제와 결부된 1장의 ‘이광수적인 것’을 둘러싼 물음과 쟁점들을 형성한다.
    2장은 이광수 복권이 어떠한 역사적 경로와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는지를 피랍(납북)과 미귀환으로 독파해보았다. 정전협정(1953)-제네바회담(1954)-국제적십자사를 통한 피랍(납북)자 명단 통보와 답지(1956~1957)의 전 세계적인 흐름과 결을 같이 하는 속에서, 이광수는 반공의 상징이자 미귀환의 표상으로 한국 사회에 연착륙할 수 있었다. 1962년 삼중당의 『이광수전집』 간행을 계기로 한 작가(문인) 이미지의 강화는 1968년 신문학 60주년을 맞아 분출된 문학사 기술과 맞물려 이광수 복권을 정당화하는 물꼬를 터주었다. 이것이 문학적 공(功)과 정치적 과(過)라고 하는 이분법을 생성하는 이른바 문학사 기술의 편년사적 유혹이다. 신문학 60주년에 상응하는 문학사 기술이란 결국 과거를 획정하려는 전도된 ‘기원적 현재(originary present)’에 다름 아니었으며, 이것이 그 기원이자 원년의 자리에 최남선과 함께 이광수를 끊임없이 되돌리려는 왕복운동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광수 복권을 포함한 ‘이광수적인 것’의 물음과 쟁점이란 문학사 기술의 기원에 대한 이러한 자기 강박의 역사성과 정치성을 심문함과 동시에 탈근대의 지평을 담지한 자기 성찰과 모색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결론 삼아 제시했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attempt was frustrated, Munhyup(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made some controversy by announcing the establishment of Choi Nam-son and Kwangsoo Lee Literary prize in 2016. Perhaps Kwangsoo Lee is one of the rare people with Kim Gu whose naming is problematic in the Korean society. Choi In-hun introduced Kwangsoo Lee in his works, Seo Yu Gi through the imagination and ideas of characters. Here he showed Kwangsoo Lee’ self-confessions and confessions that he had to write the sequel of Soil against the logic of military police of the Japanese Empire that Kwangsoo Lee personally embodied the life of Soil’ Heo Sung in the late colonial period. The questions and issues surrounding ‘Kwangsoo Lee-likeness’ in Chapter 1 mainly focus on these contents.
    Chapter 2 is explained what historical path and process led to Kwangsoo Lee’s reinstatement with kidnapping and being not returned from North Korea. In the global trend of Armistice Agreement(1953)-Geneva Conference(1954)-Notification and reply to the list of abductees through the International Red Cross(1956~1957), Kwangsoo Lee is a symbol of anti-communism and being not returned from North Korea was able to make a soft landing in Korean society. Strengthening the image of the writer based on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Kwangsoo Lee’ from Samjungdang in 1962 led to the justification of the Kwangsoo Lee’s reinstatement. This is a temptation of chronicle according so-called literary history producing a dichotomy of literary accomplishments and political errors. New literary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60th anniversary of new literature was nothing more than an inverted “originary present” to finally define the past and this also appeared as a reciprocal movement Kwangsoo Lee with Choi Nam-son that has been constantly turning to the origin and place of the first year. Therefore, the questions and issues of ‘Kwangsoo Lee-likeness’ including Kwangsoo Lee’s reinstatement is that it examines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is self-obsession about the origins of literary history and needs to be self-reflection containing the post-modern horizo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