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화사 국행수륙재의 호국적 성격 (State-Prot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Rite for Saving All Sentient Beings of Water and Land in the history of Samhwasa Templ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12
23P 미리보기
삼화사 국행수륙재의 호국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4호 / 33 ~ 55페이지
    · 저자명 : 성청환, 박영만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태조가 처음으로 설행한 삼화사 수륙재의 고유성을 분석하고 이에 내포된 호국적 성격을 밝히는데 있다. 먼저 삼화사 창건과 관련된 설화를 살펴보면 삼화사 창건 그 자체가 왕실내지 국가와 밀접하게 관계하는 호국적인 성격이 있다.
    삼화사의 창건은 선덕여왕의 왕권 강화를 위한 자장율사의 오대산 지역 성역화 사업을 기원으로 삼든, 고려 태조의 후삼국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삼화사’라는 명칭을 하사한 것을 보듯이 어느 경우에도 왕권의 강화와 국가의 안정을 기원하는 불교의 호국적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점은 조선 태조가 최초로 국행수륙재로 설행한 삼화사 수륙재에도 동일한 의미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 있다. 태조 이성계가 삼화사에서 국행수륙재를 설행할 것을 명한 직접적인 원인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 부자가 조선왕조의 건국세력에 의해 삼척에서 죽음을 당하였기 때문이다. 삼화사 수륙재의 표면적인 설행목적은 고려 공양왕을 위한 천도였으며, 나머지 두 사찰은 개국의 과정에서 몰살당한 여타의 고려의 왕씨들을 추모하기 위한 행사였다.
    삼화사 수륙재가 고려 왕실의 공민왕 천도를 목적으로 설행됨으로써 그 동기는 새롭게 건설한 조선의 번영과 왕실의 안녕을 위한 호국적 성격을 띤다. 조선 초기에 설행된 국행수륙재는 모두 좁은 의미에서 보면 태조가 몰살된 고려의 왕족에 대한 참회를 위한 행위였지만, 수륙재의 설행의 보다 큰 목적은 신왕조 개창초기의 사회적 화합과 결속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하였던 것으로 호국적 성격을 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uniqueness of the rite for saving all beings of water and land in the Samhwasa temple which was first performed by Taejo, Yi Seonggye (1335~1408) in Joseon Dynasty. After that, this paper is to argue that the rite was reveal the patriotic character, state-protecting Buddhism. First of all, looking at the narrative related to the founding of Samhwasa, the founding of Samhwasa itself has a patriotic character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r the state. The establishment of Samhwasa was based on Jajangyulsa's sanctification project in the Odaesan mountain area to strengthen the kingship of Queen Seondeok in Silla Dynasty. It has a patriotic character of Buddhism that prays for stability and national stability.
    This point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same meaning to Samhwasa's amphibious material, which was first established by Joseon Taejo as a national expedition. The direct reason why Taejo ordered Samhwasa to preach national haengyangjae was because the last king of Goryeo, the rich man of King Gongyang, was killed in Samcheok by the founding forces of the Joseon Dynasty. The apparent purpose of Samhwasa Temple's sermons was a pilgrimage for the King of Goryeo's memorial service, and the other two temples were an event to commemorate the other kings of Goryeo who were annihilated in the process of opening up.
    As Samhwasa Suyukjae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Cheondo, King of Gongmin of the Goryeo royal family, its motive is the patriotic character for the prosperity of the newly built Joseon and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Moreover, through this rite the king planned for social stability. In a narrow sense, all of the state-run amphibious goods practi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acts of repentance against the Goryeo royal family where Taejo was annihilated which has a nationality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