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순교승 환성지안과 통도사 (Hwansungjian and Tongdosa Temple of Marty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조선후기 순교승 환성지안과 통도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3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환성 지안(喚醒 志安,1664-1729)은 청허 휴정의 문도 편양의 계보를 잇는 고승이다. 그의 문중에서 통도사 물론이고 대다수 본산 사찰에서도 주지로 선출되고 있다.
    본고에서 새롭게 찾은 환성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산중일기』에 의하면 환성은 1686 년(23세) 7월에서 이듬해인 1687년 1월경 설제와 운밀에게 속리산 대암암에서 수행하였다. 1704년(41세) 지리산 벽송사에서 머물면서 전각을 중창하였고 1710년(47세) 쌍계사에 서 『심경략소연주기회편(心經略䟽連珠記會編))』를 교정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715년(52세) 봄에 통도사에서 환성과 호암이 「근차환성호암양선사유운(謹次喚惺虎岩兩先師遺韻)」 라는 전각 현판을 남기고 있다. 환성은 1719년(56세) 3월경 통도사 백련암에 주석한 후1721년(58세) 구례 화엄사에서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 간행 불사에 시주하였다. 그리고 1724년(61세) 10월 순천 동화사를 중창하고 1725년(62세) 금산 금산사화엄법회를 개최하였다. 환성은 1728년(65세) 6-8월경 통도사 부세를 견감하는 견역을하면서 말년에 통도사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환성은 3차례 이상 통도사에 주석하였던것이다. 통도사 견역 불사 후 금산사 화엄법회건으로 무고를 받아 풀려났다가 1729년(66세) 제주에 유배되어 순교하였다.
    환성은 1697년(숙종 23) 장길산의 난에 연루된 월저 도안과 도영, 풍열, 설제도 금산사화엄법회건으로 다시 무고를 받았다. 상월의 법손 혜암 윤장도 1785년 선암사에서 무고를 받았는데 윤장은 환성이 되살아난 것이라는 평을 받았다. 환성은 고려말 나옹 이후 조선초 행호, 조선중기 허응으로 이어지는 조선의 3대 순교승이었다.

    영어초록

    Buddhist monk Hwanseong Jian (1664-1729) was a high priest who lived during the period of the suppression of Buddhism through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in the early reign of King Yeongjo. Most of the books he left behind are "The Book of Hwanseong Poetry", "Seonmun Ohjongganggyo", and books written by his student Hamwol Hae-won and inscriptions written by Hong Gye-hee, a literary man. There are few traces of Tongdosa Temple in Hwanseong's official annals, inscriptions, and books.
    Monk Hwanseong was born in Chuncheon on June 10, 1664, and was killed on July 7, 1729. In 1678, at the age of 15, he became a disciple of Monk Sangbong of Yongmunsan Mountain in Yangpyeong and performed it to Monk Seolje in 1680. According to the book, from July 1686 to January 1687, he was taught by monk Seolje and alumni Unmil at Daeamam Hermitage in Songnisan Mountain. In 1690, under the direction of monk Mowoun, a Buddhist meeting related to Hwaeomjong was held at Jikjisa Temple in Geumje, and in 1704, it was rebuilt while staying at Byeoksongsa Temple in Jirisan Mountain.Monk Hwanseong probably stayed at Daeheungsa Temple. His pen name was called Samyak, and he is enshrined as an important monk of Daeheungsa Temple. Ssanggyesa Temple repaired the Simgyeong Yakso Banquet in 1710, and Cheongpyeongsa Temple in Chuncheon was rebuilt in 1711. He stayed at Songnisan Mountain for a while and headed to Geumgangsan Mountain in 1714. In the spring of 1715, Monk Hwanseong and his disciple Hoam left a record of the building in Tongdosa Temple.
    According to the annual report, it was annotated at Jeongyangsa Temple in Geumgangsan Mountain in July 1717. In March 1719, Baekryeonam of Tongdosa Temple was annotated, and in 1721, "Suwoldoryang Republican Buddhist Temple Yeo Hwan-bin Jumongdap" was published by Hwaeomsa Temple in Gurye. In October 1724, Donghwasa Temple in Suncheon was rebuilt, and in 1725, the Hwaeomjong Law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was held. In August 1728, he spent his last year at Tongdosa Temple and made efforts to reduce the amount of labor imposed on Tongdosa Temple. He was indicted and imprisoned for holding a Buddhist rally at Geumsansa Temple in Gimje, but was exiled to Jeju in 1729 and martyred on July 7.
    His martyrdom was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1661 (the 2nd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a Buddhist monk in Baekgok (1617-1680) appealed against King Hyeonjong's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In addition, Woljeodoan (1638-1715), a monk who was active during King Sukjong's reign, was also suppressed and involved in Jeongchukoksa Temple in 1697 (23rd year of King Sukjong). The group included monks Doyoung, Pungyeol, and Seolje, who are close to cheers.
    It is said that the cheers of the monk were revived when Monk Hyeam Yoonjang, a descendant of Monk Sangwol, was released from prison in 1785.
    In response to the oppression of these monks,Jeong Yak-yong pointed out the case of Monk Hwanseong and his third generation grandchildren.
    In this way, Haengho, a mon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eo Eung-bo, a monk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Hwanseong, a monk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martyred in Jeju. I want to see them as three martyrs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