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열규의 『한국문학사』 기술의 특수성 (The distinctiveness of Kim Yeol-gyu's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08
25P 미리보기
김열규의 『한국문학사』 기술의 특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7권 / 3호 / 73 ~ 97페이지
    · 저자명 : 류정월

    초록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일종의 상호텍스트성의 궤적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 ‘김열규’를 욕망하고 행동하는 주체이자, 기호체계에 귀속될 수밖에 없는 주체로 전제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열리는 길이 어떤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사』의 특수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지는 시학적이며 구조적인 측면을, 다른 하나는 각 텍스트가 연계되는 다소 무질서해 보이는 리좀적 측면을 살피는 것이다. 『한국문학사』를 이루는 세 장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연계되는데, 그 개별 텍스트(가령 <단군신화>) 분석에서 특히 시학적이며 구조적 시각은 두드러진다. 텍스트 세부를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참신하고도 풍부한 논의를 생산한다. 또한 『삼국유사』가 현대 텍스트에까지 잇달아 있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통합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문학사』는 『삼국유사』뿐 아니라 현대문학 및 문화 콘텐츠들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주 텍스트와 부 텍스트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그리고-그리고-그리고’로 무수히 확장되는 수평적 연결망은 마치 리좀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이러한 두 측면의 관계를 밝히면서 결국 문학 작품의 유기성을 전제하는 통합과 종합의 의지가 리좀적 방향으로 견인된다고 본다. 『한국문학사』는 단순히 강의실 밖으로의 공간적 탈주 혹은 고전에서 현대로의 시간적 탈주뿐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는 인식적 탈주를 감행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는 한국문학을 봉쇄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재영토화한다. 『한국문학사』는 ‘문학사 아닌’-‘새로운 문학사’의 사이에 있는 텍스트이며, 그 담론적 저자로서 김열규는 탈주선을 그리는, 당대로서는 유표화된 유목적 주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s and achievements of Kim Yeol-kyu's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Tamgudang, 1983) as a study of Korean literature.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reates a trajectory of intertextuality that traces the links between one text and another across time and genres. In this paper, Kim Yeol-gyu is presumed to be the subject who desires and acts according to the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s of Deleuze and Guattari, and as a subject inevitably bound to the symbolic system. From this perspective, it explores the new paths opened up by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exploration takes place in two directions: one is the poetic and structural aspect manifested in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other is the somewhat disorderly, rhizomatic aspect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ch text. The three chapters that constitute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re centered around "Samgukyusa," and in the analysis of individual text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Myth of Dangun>, the poetic and structural perspective becomes prominent. Furthermore, it seeks to reveal the continuity of "Samgukyusa" to contemporary texts, showcasing the intention of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 and subsidiary texts as it expands horizontally from one text to another, in an "and-and-and" manner, reminiscent of rhizomes.
    Finally, this discussion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spects and ultimately sees the intention of integration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pull toward the rhizomatic direction.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not merely a spatial escape from the classroom or a temporal escape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it requests an intellectual escape that leads to a reterritori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at is impossible to blockade. It is a text that dreams of an ideal literary history, one that is "not a literary history" but a "new literary history," and Kim Yeol-gyu, as the discursive author, can be considered a nomadic subject that has been marked in 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