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아동문단 성립기의 ‘아동문화사 사건’ (‘Adongmunhwasa Event’ During the Establishment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12
20P 미리보기
북한 아동문단 성립기의 ‘아동문화사 사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20호 / 229 ~ 248페이지
    · 저자명 : 원종찬

    초록

    1946년 12월 건국사상총동원운동과 더불어 문학예술 분야에서 반동적 경향과의 투쟁이 전개되었고, 이러한 문단 정비 과정에서 시집 ‘응향’ 사건이 발생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아동문학 부문에서도 ‘응향’ 사건과 대응하는 ‘아동문화사’ 사건이 발생했다. 북한의 공식적인 문학사에서는 ‘아동문화사’ 사건에 관한 언급이 없지만, ‘해방 후 10년간의 조선문학’을 돌아보는 1950년대의 문헌들에는 ‘해방 직후 아동문화사에 잠입한 순수문학 신봉자들의 정체를 폭로하는 투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러저러한 형식주의 경향과 부르주아 이데올로기 잔재를 성과 있게 숙청했다’는 기록이 소략하게 나와 있다. 사건의 전말을 살필 수 있는 자료는 나타나지 않지만, 작가동맹의 기관지 『아동문학』의 초창기를 회고하는 글들을 통해 어느 정도 이 사건의 윤곽을 그려볼 수 있다.
    ‘아동문화사’ 사건은 이곳에서 발행되는 『어린 동무』와 『어린이신문』 및 단행본들의 계급적 성격을 문제 삼아 내부 ‘불순분자’를 제거하고 출판사 명칭까지 바꾼 사건을 가리킨다. 아동문학 분야의 사상투쟁은 ‘응향’(1946.12) 사건 이후인 1947년에 전개되었으며, 그 해 7월에 창간된 『아동문학』은 그 정점이었다. 이 잡지의 창간호는 이후와 다른 성격을 지녔다고 한다. 문제의 ‘아동문화사’에서 발행되었는데, 아동은 읽을 수 없는 ‘연구적 성격’의 이론 잡지였고, 잡지의 나아갈 방향도 명확하지 않았다는 회고글이 발견된다. 박세영의 「건설기의 아동문학」이란 평론이 여기 발표되는 등 부르주아적 잔재를 소탕하는 투쟁에서 박세영․이원우․김우철의 역할이 지대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 당시 사상투쟁의 결과로 ‘아동문화사’의 간판이 내려진 것이다. ‘아동문화사’는 ‘청년생활사’로 이름을 바꾸고 계급적 성격을 강화해서 새로 『소년단』을 펴냈다. 『아동문학』은 2호부터 박세영이 출판부장으로 있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직속의 문화전선사에서 나왔다. ‘아동문화사’ 사건은 ‘응향’ 사건보다는 파장이 적었지만, 아동문학 부문의 첫 번째 사상투쟁으로 자리매김 된다.

    영어초록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n December 1946, a fight against reactionary trends began in the literature and art area together with a campaign to promote the national ideal envisioned on the founding of a country, and a collection of poems ‘Eunghyang Event’ happened during this rearrangement process of the literary world. Also in the children’s literature area, ‘Adongmunhwasa Event’ similar to ‘Eunghyang Event’ took place. Although ‘Adongmunhwasa Event’ is not mentioned in the official literature history of North Korea, ‘We successfully cleaned up formalism and vestiges of bourgeois ideology including a conflict disclosing pure literature advocators who infiltrate Children’s Culture Magazine right after the 1945 Liberation’ was recorded briefly in documents written in 1950s reviewing ‘Korean literature for 10 years after the 1945 Liberation’. Even though detailed materials showing the whole story of the event are not found, the outline of the event can be drawn to some extent through writings recollecting the first stage of Children’s Literature, an official magazine of the Union of Writers.
    During the ‘Adongmunhwasa Event’, rebellious elements in the publishing company were eliminated and the company name was changed due to characteristics of classes of Young Friends, Children’s Newspaper and other separate books published by the company. The ideological fight in the children’s literature area began in 1947 after ‘Eunghyang Event’(December 1946), and Children’s Literature that was founded in July of the year was at the zenith of it. It is said that the inaugural issue of the magazine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issues after that time. There is a recollection that the magazine was an academic and theoretical magazine that couldn’t be read by children, and the object of the magazine was not clear. There is also a record that Park Se-yeong, Lee Won-wu and Kim Wu-cheol played a great role in cleaning up vestiges of bourgeois ideology, for example, a criticism by Park Se-yeong titled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The signboard of ‘Adongmunhwasa’ was forced to come down as a result of ideological fights at that time. ‘Adongmunhwasa’ changed its company name to ‘Cheongnyeonsaenghwalsa’ and began publishing Sonyeondan by reinforcing characteristics of classes. From the second issue, Children’s Literature was published by Munhwajeonseonsa that was directly under North Korea Literature & Art Union where Park Se-yeong worked as a manager of Publishing Department. Although ‘Adongmunhwasa Event’ has smaller effect that ‘Eunghyang Event’, it is considered the first ideological fight in the children’s literatur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