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산 사상좌춤의 춤사위 용어 연구 (A Study of Bongsan Sasangjwa Dance Step Termin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09
30P 미리보기
봉산 사상좌춤의 춤사위 용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2권 / 261 ~ 290페이지
    · 저자명 : 조윤주

    초록

    본 연구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된 봉산탈춤의 제1과장인 사상좌(四上佐)춤을 대상으로 한다. 봉산탈춤 사상좌춤은 대사 없이 춤으로만 연행되는 과장이다. 4명의 상좌가 관객의 안녕(安寧)과 복을 빌어줌과 동시에 놀이판을 정화하면서 사방신(四方神)에게 배례(拜禮)하는 양식이다. 즉 의식무(儀式舞)로서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봉산탈춤보존회 정기발표회는 2016년 현재 69년 동안 지속적으로 연행되어 왔다. 약 7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다양한 활동을 펼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1과장인 사상좌춤에 대해서는 학술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봉산 사상좌춤은 춤사위 용어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서, 교육과정 시 언어적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불편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상좌춤을 학술적으로 기록․정리하는데 목적을 두어, 무보를 제시하고 관련 춤사위의 용어를 정립함으로써 후학의 연구에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상좌춤의 춤 전개에 따른 대형과 춤사위에 대한 용어는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를 기반으로 색인하여 정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민간전승의 탈춤과 같은 류에 대해 정재와는 무관한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상좌춤의 춤사위 전개와 대형을 무보로 작성하고, 이들의 해설에 정재 용어를 접목해본 결과, 정재용어는 한자 사용의 특성으로 인해 매우 함축적이며, 분명한 지시적․형상적 언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봉산 사상좌춤의 대형과 춤사위를 설명하는 데에는 더욱 편리했는데, 이는 지방 권번 기녀들에 의해 전승된 전통 정재적인 특성이 사상좌춤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일제강점기에 사상좌춤은 기존 남성탈꾼을 대신하여 기녀들이 연행하였다. 그로 인하여 사상좌춤은 목중들의 활달한 춤과는 분명히 비교되는 지방 권번 기녀의 여성적 춤으로 변화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이상 봉산 사상좌춤의 춤사위 용어 연구는 무엇보다도 후학에게 춤의 언어적 교육 소통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고 연구 하였다.

    영어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asangjwa dance, the first part of the Bongsan mask dance, which is designated as No. 17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Sasangjwa dance is composed of dances that have no lines. Four sangjwas pray for the audience’s well-being and fortune, and at the same time, purify the stage by bowing to the Four Symbols. The dance is ceremonial and has characteristics of Byeoksajingyeong(which means to defeat bad things and approach good things.
    The Bongsan Mask-dance Drama Preservation Society’s regular performance has occurred continually for the past 69 years. Although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iverse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for about 70 years, only a small amount of academic research on the first section of the Bongsan mask dance, the Sasangjwa dance, has been conducted. In addition, the terminology of the Bongsan Sasangjwa dance steps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linguistic communication is difficult in educational courses on the Sasangjwa da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cord and arrange the Sasangjwa dance academically, present its dance scores, and establish terms for its dance steps, thereby providing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The terms for the dance steps of the Sasangjwa dance are indexed and arranged based on Akhakgwebeom and Jeongjaemudoholgi.
    Existing research has considered folklore mask dances to be irrelevant to Jeong-jae. However, this study considered the Sasangjwa dance according to its dance steps, formation, and scores and used Jeong-jae terminology to describe them. In the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Jeong-jae terminology is implicative and uses referential and figurative language; this terminology was particularly convenient to explain the dance steps of the Sasangjwa dance,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eong-jae were handed down to gisaengs, who adopted the Sasangjwa dance. During Japan’s colonial era, the Sasangjwa dance was performed by gisaengs at regional offices in place of the existing male mask dancers; as a result, the Sasangjwa dance was transformed into a feminine dance that was in obvious contrast with the Mokjoong dance.
    In this paper, the aim of establishing of dance step terminology for the Bongsan Sasangjwa dance was to facilitate the education of students and communication in general about the Sasangjwa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