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碧巖 覺性과 華嚴寺 靈山會掛佛圖 (Byeokam Gakseong and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Hwaeomsa Templ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6
43P 미리보기
碧巖 覺性과 華嚴寺 靈山會掛佛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2호 / 99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정희

    초록

    벽암 각성(1575~1660)은 청허 휴정(1520~1604)의 淸虛系와 함께 조선후기 불교계의 양대계파인 浮休系 성립의 기반을 구축한 승려였다. 그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란으로 피폐해진 민심을 사찰의 중창과 佛事를 통해 위로하면서, 조선후기 불교미술 조성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된다.
    각성은 1636 년(인조 14)에 화엄사를 중창하고 이어 하동 쌍계사, 완주 송광사 등 대가람을 중창하였으며, 1646 년(인조 24) 이후 화엄사에 주석하면서 1653 년에 화엄사 영산회괘불도 조성을 주도하였다. 화엄사 영산회괘불도는 24 폭의 모시를 이어 만든 가로 731cm, 세로 1009cm 의 거대한 화폭에 靈山齋의 주불인 석가모니의 설법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효종의 차녀 淑安公主(1636~1673)와 남편 洪得箕(1635~1673)를 비롯한 90 여 명의 연화질과 시주질이 참여하여 조성하였다. 화엄사 괘불도의 조성을 즈음하여 각성을 중심으로 한 벽암문도는 보살사 영산회괘불도(1649), 안심사 영산회괘불도(1652), 영수사 영산회괘불도(1653), 비암사 영산회괘불도(1657) 등 영산회괘불도 조성을 주도하였다.
    이처럼 1649 년~1657 년 사이의 짧은 기간 안에 충청, 호남지역에서 靈山會라는 동일한 도상의 영산회괘불도가 다수 조성된 것은 靈魂遷度儀禮인 靈山齋가 조선 후기의 최대의 불교의식으로 자리잡게 되었을 뿐 아니라 관련의식집이 다수 발간되었기 때문인데, 여기에는 각성이 서문을 쓰고 제자 智禪이 편찬한 五種梵音集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후 벽암문도의 불사는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18, 19 세기 영산회괘불도의 성행을 이끌어냈다. 따라서 조선후기 영산회괘불도의 성립과 확산에 있어 각성의 역할이 매우 지대했다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Paintings of Hwaeomsa temple is a representation of Assembly at the Vulture Peak of Yeongsanjae's main Buddha Shakyamuni, with a width of 731 cm and a length of 1,009 cm, which is made up of 24 ramie cloths for which about 90 peoples along with Hyojong's second eldest daughter Princess Sukan(1636~1673) and her husband Hong Deukgi (1635~1673) supported. On the occasion of the composition of Hwaeomsa temple banner paintings, Byeokam clan led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such as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Bosalsa temple (1649), Anshimsa temple (1652), Yeongsusa temple (1653), and Biamsa temple (1657). The reason that a plural number of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of the same iconography, Yeongsanhoe, were composed in the Chungcheong and Honam regions in the short period between 1649 and 1657, is that not only did the Yeongsanjae, the ceremony to the dead, become the largest Buddhist ceremony of the late Joseon period, but related ritual collections were published as well. Here Gakseong wrote a preface, and the "Ojongbeomeumjip" compiled by his disciple Jiseon had a great influence. Since then, Buddhist services of Byeokam clan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leading to the prosperity of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role of Gakseong in establishing and spreading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very gre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