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봉은사 왕실발원 석가괘불도 연구 (A Study on Court-sponsored at Bongeunsa Temple, Seou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6
26P 미리보기
서울 봉은사 왕실발원 석가괘불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4호 / 151 ~ 176페이지
    · 저자명 : 고승희

    초록

    본 연구는 서울 봉은사 <석가괘불도>의 도상과 성격을 밝혀보고, 양식을 고찰해 봄으로써 봉은사 <석가괘불도>의 미술사적 위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제2장에서는 봉은사의 연혁과 석가괘불도의 조성배경에 대해 살펴보았고 ‘염화인불(拈花印佛)’ 도상과 왕실발원 괘불도의 특징과 현황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봉은사 <석가괘불도>의 도상 및 양식특징에 대하여 파악해보았으며, 제4장에서는 봉은사 <석가괘불도> 조성 수화승인 ‘긍조’의 화적과 화승들과의 유파관계를 살펴보고 화기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봉은사 <석가괘불도>는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에 해당하는 1886년 조성의 괘불도로서,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를 비롯하여 내명부 상궁들의 시주 참여와 발원을 통한 내용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 많은 화적을 남긴 수화승 ‘긍조’와 ‘돈조’가 참여하였으며 화승과의 교류를 통하여 도상과 양식 특징의 유파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봉은사 <석가괘불도>는 손에 연꽃가지를 든 ‘염화인불’ 도상으로 19세기 석가괘불도 가운데 개운사 <석가괘불도>, 호국지장사(화장사) <석가괘불도> 등이 있고, 주 협시보살인 문수·보현보살상 대신 가섭존자상과 아난존자상이 협시하고 있거나, 문수·보현동자상이 등장하는 도상은 봉은사 <석가괘불도>를 포함하여 개운사 <석가괘불도>, 내원암 <석가괘불도>, 호국지장사(화장사) <석가괘불도> 등으로 매우 독특한 도상적 특징을 볼 수 있다.
    이렇듯 왕실발원 괘불도로서의 조성배경과 ‘염화인불’ 도상의 성격을 파악해보고, 다양한 양식 특징을 고찰해 봄으로써 봉은사 <석가괘불도>의 미술사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osition of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in the art history by exploring the iconography and character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temple in Seoul and examining its style.
    Accordingly, first, in Chapter 2, we reviewed the history of Bongeunsa temple and the composition background of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and 'Yeomhwainbul (拈花印佛)' iconography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ourt-sponsored banner paintings.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iconographic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and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painting recordsof 'Geungjo', the head painter monk who created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temple, and the relationship of schools of painting with painter monks,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painting skills.
    As a result,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temple is a banner paintingcreated in 1886 corresponding to the third period of the later Joseon era, in which King Heonjong's royal concubine Gyeongbin Kim, court feminine bureaucratic system court ladies' participation in donations and composition wishe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the head painter monks, 'Geungjo' and 'Donjo', who left many painting records in the 19th century, participated in the work, an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painter monks, this study manag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of pain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y and style.
    In particular,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temple is a 'Yeomhwainbul' iconography with a Lotus branch in thehand, and these include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Gaeunsa and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Hogukjigangsa (Hwajangsa) among Shakyamuni Banner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Very unique iconographical featuresare seen in the fact that GaseopJonja images and AhnanJonja images are represented as essential secondary statusimages instead of Munsu-Bohyeon Bodhisattvas images which are essential secondary status Bodhisattvas, or in that iconographies featuring Munsu-Bohyeon Dongja images are left pieces of work such as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Gaeunsa –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Naewonam -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Hogukjigangsa (Hwajangsa) including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temple.
    As such, by grasping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of Yeomhwainbul iconography as court-sponsored banner paintings, and examining various style features, this study was able to see the location of <Shakyamuni Banner Painting> at Bongeunsa temple in the ar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