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사대부들의 회화 인식 (The literati’s point of view on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사대부들의 회화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4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장은영

    초록

    고려 말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性理學의 영향으로 점차 道를 중시하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회화를 末藝로 여기던 조선 전기와는 달리, 조선 후기에 이르면 ‘그린 사람에 따라서 뛰어난 그림이 될 수도 있다’라는 부분적인 시각의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 후기 사대부들은 적극적으로 회화창작에 참여할 수 있었고, 비록 단편적인 형태의 담론들이었지만 畵論의 전개 또한 이전 시대에 비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 양상을 董其昌이 주장하였던 南北宗論을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芥子園畫傳』을 비롯한 다양한 중국의 畵譜와 동기창의 『容臺集』의 전래를 통해서 남북종론 또한 조선에 알려지게 되면서, 尙南貶北을 바탕으로 한 남북종론은 문인화와 화공의 그림을 뚜렷이 구분 지을 수 있는 잣대가 되어 주었고, 그로 인해 남종 문인화풍을 회화이상으로 삼는 사대부들의 창작행위는 말예의 영역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李圭象의 儒法院法論과 沈 의 畵寫區分論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위 계층 문화로서의 문인화라는 장르에 대한 개념의 전래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에게 文人畵와 院體畵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로 인해 사회적 신분 차별을 바탕으로 하는 ‘그린 사람에 따라서 뛰어난 그림이 될 수도 있다’는 회화에 대한 인식이 사대부들 사이에 퍼지게 되었고, 회화 전체를 포함하지는 않더라도 문인화라는 장르는 말예라는 인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literati regarded painting as a lowly skill(末藝)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literati’s point of view on painting chan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considered that painting might be exceptional according to the person who painted it.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change in terms of the theory of the south and north school(南北宗論).
    Through Tung Ch’i-ch’ang(董其昌)’s paintings, writings, and various Chinese manuals of painting, the theory of the south and north school based on status was introduced into Joseon and became a touchstone to differentiate distinctly between literati painting(文人畵) and court painting(院體畵).
    As a result, even though it was limited to a certain part, the literati could recognize painting as an art and could produce such theories as Lee Kyu-s’ang(李圭象)’s theory of literati-style and court-style manual(儒法院法論) and Sim Jae(沈 )’s theory of differentiation between hua and xie(畵寫區分論).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as the high-class culture could make the literati deviate from the point of view which had regarded painting as a lowly ski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