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 (A Study on Self-love in Early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09
25P 미리보기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6호 / 9 ~ 33페이지
    · 저자명 : 안양규

    초록

    자기사랑에 대한 논의는 자기사랑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진행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비판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고에선 자기사랑을 긍정적인 의미로 이해하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고 있는 자기사랑에 대한 정의를 살피고 자기사랑을 불교의 주요 교리와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붓다에 의하면 진정한 자기사랑은 결코다른 존재를 해치지 않는 마음을 전제하고 있다. 자기 사랑은 적어도 다른 존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며 적극적으로는 다른 존재의 행복을 염원하는 것이다.
    초기경전에선 자애(自愛, atta-piya)라는 표현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자기자신에 대한사랑을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붓다는 자기사랑을 자기 보호, 자념(自念), 자애념(自愛念), 자기이익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경전에서 자기 자신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는 내용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자기사랑이 부정되고 있는 것이아니라 자기사랑이 바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다. 자신 내지 자신의몸을 사랑하는 것은 본능적인 것이다. 붓다는 이러한 본능적인 자기애를 먼저 인정하고있다. 일체 생명이 갖추고 있는 자기애는 악행으로 갈 수도 있고 선행으로 갈 수도 있는데 붓다는 진정한 자기애는 선행에서 완성된다고 가르치고 있다.
    연기관과 자타불이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리와 이타가 모순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상호 호혜의 관계에 있다. 붓다는 자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일방적인 자기희생이 장려되지 않는다. 붓다가 건강한 자기 사랑을 부정하지 않지만, 동시에 무아(無我)를 가르치고 있다. 무아는‘나’라는 배타적인 자아의식과 그릇된 자아 애착을 부정하고 있다. 자아 애착의 소멸은 자타(自他)의 차별과 분별(分別)이 사라졌다는 것을의미한다. 무아의 지각을 통해서 자만심을 소멸시킨다는 것이며 ‘아만심’의 소멸을 통해서 열반을 성취한다. 궁극적으로 무아에서 자아 애착이 부정되고 열반에서 자기사랑이 완성된다.

    영어초록

    Depending on how one understands self-love, discussion on self-love can be a one or a negative one. In this paper, I look at self-lov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s it appears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is paper focuses on two main features: 1) Buddhist definition of self-love, 2) discussion on self-love in relation to the major doctrines of Buddhism such as non-self and so on. According to the Buddha, true self-love includes “never doing harm to other beings.” Self-love never excludes wishing happiness for other beings, not to mention welfare for oneself as well.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 find expressions such as “self-love” (atta-piya), “self-protection” (atta-rakkhita), self-concern, “self-loving concern,” and “self-interest.” These expressions represent the Buddha's positive teachings on self-love. We come across the Buddha's words on self-importance, which emphasizes self-reliance and self-discipline.
    The Buddha never denies self-love but instead teaches that self-love should proce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Buddha recognizes the instinctive self-love first and then teaches that true self-love leads to love for oth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non-dual teaching, one's self and others are not separate but connected. They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not in contradiction. The Buddha does not negate healthy self-love, but at the same time teaches selflessness (無我). Non-self denies exclusive self-consciousness and egocentric self-love. The disappearance of the ego means the extermination of discrimina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自他). Self-attachment or pride disappears through perceptions of the non-self, and nirvana is achieved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the “ego.” Ultimately, denial of self-attachment appears in non-self; self-love is completed in Nirva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