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오대산 유람과 상원사 (Sangwon Temple of Odae Mountain viewed through the records of the Travel in the late Joseon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오대산 유람과 상원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60호 / 221 ~ 248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순

    초록

    오대산 상원사는 한국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사찰로서 그 동안 많은 관련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하지만 조선 후기의 상원사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글은 조선 후기 오대산 상원사의 모습과 위상을 살펴보기 위해 오대산 유산기록을 검토하였다. 조선 후기 오대산 유람이 증가했는데 그 배경으로는 금강산 유람의 유행과 유람 권역의 확대, 오대산사고의 설립과 운영, 김창흡과 같은 당대를 대표하는 문인의 유람 등을 들 수 있다. 유산기에는 오대산의 많은 사찰과 승려들이 기록되어 조선 후기에도 오대산 불교가 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17세기 중후반 환적 의천에 의해 몇몇 중대 암자들이 중창되었는데 유산기는 이에 대한 생생한 목격담을 전했다.
    조선 후기 유산기에는 상원사 가람의 법식과 정교한 건축에 대한 유람자들의 감탄이 기록되었다. 유람자들은 세조에 의해 중창된 상원사의 사적을 회고하면서도 17세기 이후 상원사의 절이 비고 승려가 몇 명 남지 않은 상황을 전하기도 하였다. 또한 18세기 이후 상원사 전각 수가 줄고 가람배치도 변화를 겪었음이 드러난다.
    한편, 유람자들은 상원사 왼쪽에 중창된 진여원과 함께 조성된 문수상, 36변상도를 목격하고 기록으로 남겼다. 또한 나옹의 전설을 지닌 계수나무, 나옹의 얼굴을 닮은 나한존상 등을 언급하며 상원사에 나옹의 전승이 이어지고 있음을 증언하였다. 조선 후기 오대산 사찰들의 위상과 역할의 변화 속에서 상원사는 오대산 신앙의 상징적 장소로서 위상과 전승을 보존하려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ords of travel on Odae Mountain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Sangwon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Several travel records of the Odae Mountain in the late Joseon period remain. The popularity of Mt. Geumgang travel, the expansion of the travel area,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royal archives, and the writers representing the time, such as Kim Chang-heup, influenced it.
    In the travel records of the late Joseon period, Sangwon Temple, along with Woljeong Temple, was a must-see place for the Odae Mountain. Sangwon Temple was a journey destination representing Odae Mountain and an important place. In the records of travel, vivid images of temples and monks in Odae Mountain were recorded, indicating that Buddhism in Odae Mountain continued lively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several major temples were actually newly built in the mid-to-late 17th century.
    Many travelers were astonished and elaborate architectural techniques of Sangwon Temple, which was rebuilt during the king Sejo period. This is a testimony that the importance of Sangwon Temple was a Buddhist temple represent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 travel record also reported that Sangwon Temple has unoccupied and few monks remain since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temple hall has decreased and the arrangement has changed since the 18th century. Meanwhile, the travel records contain sightings of Jinyeowon on the left side of Sangwon Temple and the painting of Manjusri’s 36 different appearan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mission of Naong monk of the late of Koryeo continu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on the Sangwon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Sangwon Temple tried to preserve its status and historical transmission as the center of the Odaesan belief in the change of Odaesa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