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초기 서원의 교육사적 의의 (The education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early period of Seow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7.02
29P 미리보기
한국 초기 서원의 교육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29권 / 109 ~ 137페이지
    · 저자명 : 정순우

    초록

    16세기 서원의 출현은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일률적인 관리가 한계에 이르렀던 사실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국가가 교육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그 성격을 규정했던 선초에 이어 16세기에 들어서면, 사림세력의 등장과 함께 교육에 있어서도 획기적 변화가 나타난다. 교육이 차츰 일방적인 중앙 집권화로부터 분권적인 형식으로 변모되고 있었다. 이런 변화의 한 가지 뚜렷한 특징은 초기 서원의 출현이 상당수가 광대한 토지를 점유한 대토지 소유자들에 의하여 주도되었다는 사실이다.
    조선조 서원은 심학적 공부론에 근거해서 사상의 다원성과 현실성, 그리고 경세학을 표방하는 呂祖謙과 事功學派를 이끌었던 陳亮 등에 대해 그 사상의 순정성을 문제삼아 배척하였다. 퇴계의 도통론은 순수 無雜한 理를 찾는 작업이었다. 그리고 그는 그 가능성을 敬의 공부론을 통하여 李延平의 도남학과 張南軒의 호상학을 종합하는 것에서 찾고자 하였다.
    서원의 건축구조는 강학공간과 제향공간으로 나뉜다. 이는 의례와도 관련되어, 명륜당을 중심으로 하는 강학공간이 학의 세계에 관여하고 있다면 도통적 세계에 몸담고 있는 제향공간은 도의 세계를 표상한다. 학의 세계와 도의 세계를 논리적으로 어떻게 연결시킬까 하는 것이 유가 공부론의 핵심이다. 이 제향공간은 道門學과 外王의 세계로 흐르기 쉬운 강학공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안이었음을 조선조의 성리철학은 알려 주고 있다. 서원의 제의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부분은 제의 그 자체의 본래적 의미보다는, 오히려 그 제의를 집행하는 형식과 절차에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이 서원교육을 파행적으로 몰아가고, 서원이 교육의 논리가 아닌 정치와 힘의 논리로 변질된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이었다. 서원교육과 가정교육과도 관련되는데, 집에서 가능한 한 俗의 요소를 제거하면서 聖의 요소로 구성하고자 하는 교육적 열망이, 유학적 完人을 길러 내고자 하는 서원 교육의 흐름으로 유입되었다.

    영어초록

    Appearance of Seowon(書院) in 16th century was related to an equal management of Chosun met its limitation. After the government led its education period, in 16th century, the Sarim rised up and brought epoch-making changes in education. In that time, the education, which was centralized, had changed into decentralizing character. One of the clear distinctive point in this change is that an early stage of establishing Seowon(書院) was led by huge landlords.
    Chosun's Seowon(書院) and excluded Yeo Jo Gyum(呂祖謙) and Jin ryang(陳亮) by issuing their pureness of ideology. Yeo Jo Gyum(呂祖謙) was originated on Simhak(心學), so he stood for ideology of pluralism, realism and awaken the people. Jinryang(陳亮) was the leader of Sagonhakpa(事功學派). The theory of Do Tong from Toei Kuei (退溪) was a work to find pure reason(理). Also he tried to find the possiblity from the studying theory of Kyoung(敬) by colligating Donamhak from Lee Yeon Pyong(李延平) and Hosanhak from Chang Nam Henn(張南軒).
    The building construction of Seowon could be divided into Gang Hak and Je Hyang. Those spaces were related with the courtesy, Myong Run Dang was the center space of Gang Hak which was participated with Hak(學) and the space of Je Hyang means the symbol of Do(道). It is the kerner of Yuga Kongbulon(儒家 公俯論), questioning how to connect those two world logicaly.
    Chosun's Sung Ri(性理) philosophy is showing that this space of Je Hyang was the agressive alternative to take over the bad side of Do Moon Hak(道門學) which could be fliped out from its pureness. The biggest problem at Seowon(書院)'s religous service was its formality and procedure, not its original meanings. This drove the education of Seowon(書院) into cripple and effect as main reason for Seowon to be deteriorated that was not using education logics but using power logic. The Seowon education related to home education, a fervent hope about get education which was rejecting profane(俗) sources and also consisting of holy(聖) sources from home, flew into the stream of Seowon cultivation that was purposed on glowing perfet man by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