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트남 유학의 사상사적 특이성 (Historical Specificities of Vietnamese Confuci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12
34P 미리보기
베트남 유학의 사상사적 특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29권 / 449 ~ 482페이지
    · 저자명 : 김성범

    초록

    이 연구는 베트남의 유학을 사상사적으로 검토하여 베트남 유학의 특이성에 대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베트남 유학에 대한 사상사적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한국 학계의 상황에서 관련 연구에 대한 하나의 기초 연구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북속시기(北屬時期)에 유학의 유입과정에서 빚어지는 한화와 반한화의 경향을 살펴보고, 시 니엡(Sỹ Nhiếp: 137-226)과 리 남 데(Lý Nam Đế: 503-548)의 유학 경향을 소개한다. 이후 리-쩐 왕조 시기 유학의 전개 양상을 소개한다. 리 타이 또(Lý Thái Tổ: 973-1028, 재위 1009-1028)는 ‘치에우 저이 도(Chiếu dời đô: 遷都詔)’를 통해 유교의 사상을 드러내고 있다. 리 타인 똥(Lý Thánh Tông: 1023-1072, 재위 1054-1072) 시기인 1070년에 탕롱 문묘가 건설되었다. 리 년 똥(Lý Nhân Tông: 1066-1128, 재위 1072-1128) 시기인 1075에는 ‘명경박학(明經博學)’이라는 이름으로 과거제가 실시되었으며, 1076년에는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이로서 베트남에서 유학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쩐왕조 시기에는 쩐 꾸옥 뚜언(Trần Quốc Tuấn: 1228-1300)의 애국사상과 3차례에 걸친 대몽항쟁을 승리로 이끈 원동력에 대해 살펴보면서 힉 뜨엉 시(Hịch tướng sĩ: 諭諸裨將檄文)에 대해 알아보았다.
    레 왕조 시기는 베트남 유학의 발전기로 볼 수 있는데, 대명항쟁을 승리로 이끈 응웬 짜이(Nguyễn Trãi: 1380-1442)의 사상과 평오대고(平吳大誥)에 담긴 응웬 짜이의 사상적 면모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레 타인 똥(Lê Thánh Tông: 1442-1497, 재위 1460-1497) 시기에는 탕롱 문묘에 본격적으로 진사비가 설립되었고, 3년에 한 차례씩 과거제가 정례화되었으며, 억불숭유정책도 실시되었다.
    1802년 응웬(Nguyễn)왕조가 건설되어 유학을 왕조체제의 근간으로 삼아 나라의 발전을 도모했으나, 1885년 이후 프랑스의 침략으로 왕조는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유학자들이 스스로 사상적 개혁을 통해 당대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던 경신사상이 대두되었고, 이후 프랑스의 침략으로 근왕운동이 일어났다. 이후 유신운동과 티엔 단(Thiện Đàn)운동이 일어나면서 베트남의 유학은 인민들이 머물고 있는 마을로 들어가 불교를 비롯하여 민간사상과도 융합되면서 반프랑스 반식민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상사적 관점에서 유학을 살펴보면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지점은 북속시기와 근대시기이다. 이 시기를 통해 우리는 베트남 유학의 사상사적 특이성을 감지할 수 있다. 한국에서 유학연구가 주로 조선시대 성리학적 경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베트남에서 유학은 성리학적 경향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깊은 이론적 전개가 없는 것은 베트남 사상의 한 특징인데, 이는 이론적 논쟁이 없이도 현실적으로 매우 잘 유학을 실천할 수 있었다는 상황을 역설적으로 반증한다. 한편 이러한 유학을 현실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주체로서의 베트남의 고유한 사상적 흐름을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베트남 유학사상의 특이성을 감지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esent some specificities of Vietnmese Confucianism through an investigation into its history. It can be said that such a historical research on Vietnamese Confucianism has the meaning of the first step in this field in the contemporary academic world of Korea.
    First of all we mention the trends of Sinification(漢化) and anti-Sinification(反漢化) which had been shaped during the process of importing Confucianism into Vietnam in the period of Northern domination(北屬時期). We also introduce some typical Confucian scholars in this period such as Si Nhiep(137-226) and Ly Nam De(503-548). After that, the aspects of the dissemination of Confucianism in Ly-Tran dynasties are introduced. We present the Confucian thought of Ly Thai To(973-1028) by introducing his “Edict on the transfer of the Capital”(遷都詔), In 1070, under the reign of Ly Thanh Tong(1023-1072, reigned 1054-1072), Van Mieu(文廟, the Temple of Literature) was constructed in Thang Long. In 1075, under the reign of Ly Nhan Tong(1066-1128, reigned 1072-1128), the royal court organized the first Confucian examination named ‘Minh kinh bac hoc’(明經博學, comprehension of Confucian classics and wide knowledge), and in 1076, the first national university named Quoc tu giam(國子監) was built. With all of those activities, Confuciansm marked its official presence in Vietnam.
    We also try to make a study of the patriotism of Tran Quoc Tuan(1228-1300) and his motive power in leading all people and the army to the great victory against the Mongol invasions, and analyse his famous work named "Hich tuong si"(諭諸裨將檄文, appeal to the generals and soldiers).
    It is obvious that Vietnamese Confucianism in Le Dynastry had gained a very high development. About this period, we make a general introduction of the thought of Nguyen Trai(1380-1442), as one of the leaders in the resistance against Ming Dynastry and at the same time the typical scholar of this period, by considering his "Dai cao binh Ngo"(平吳大誥, Great Proclamation upon the Pacification of the Wu). After Nguyen Trai, during the reign of Le Thanh Tong(1442-1497), reigned 1460-1497), the 'steel stele records of imperial examinations' in Van Mieu, Thang Long, were established, and the rules of Confucian examinations according to which the royal court would organize those exams once every three years were formulated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policy of restricting Buddhism and respecting Confucianism was implemented.
    In 1802, Nguyen Dynastry was established. The royal court planned to use the Confucianism as the ground of the ruling system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However from 1885, when the French colonials invaded Vietnam, the royal court became a nominal on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fucian scholars, through the self-reform of their own way of thinking, had tried to resolve the then problems and as the result the thought on renewal had rosen. They also organized Can Vuong movement(Can Vuong, 勤王 means to helf the King). After that, other movements such as Duy Tan(維新, Reformation), Thien Dan etc had emerged. It can be seen from those activities that Vietnamese Confucianism had combined with popular thoughts such as Buddhism-one type of Buddhism which had deeply enter into the life of the peasants in the countryside,-and formed many anti French colonialism movements.
    Considering Vietnamese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thought, it can be said that most important periods were the Northern domination and the pre-modern one. Through those periods we can clearly perceive historical specificities of Vietnamese Confucianism. While in Korea, the research on Confucianism mainly focuses on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in Vietnam Confucianism almost did not follow the Neo-confucian trend. One of the remarkable characters of Vietnamese thought is that there was no expansion of profoundly theoretical ideas, but on the contrary, this character can paradoxically prove the fact that Confucianism in Vietnam was well put into practice without theoretical debates.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to actualize Confucian theories, there must exist a certain inherent current of thought which played the leading role in Vietnamese history of thoughts. This also can be seen as a specificity of Vietnamese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