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08
35P 미리보기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4호 / 87 ~ 121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본 논문은 송광사의 僧寶宗刹로서의 위상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송광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삼보종찰 가운데 16國師를 배출하였다고 하여 승보종찰로 불려지고 있으나 그 연원이나 설정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는 듯하다. 따라서 고려후기 修禪社 16社主의 위상이 어떠하였는가, 그리고 언제부터 16국사로 숭앙․추념되고 송광사가 승보종찰이 되었는가에 대하여 천착하고자 하였다.
    송광사는 고려중엽 지눌이 신앙결사운동을 전개하면서 사세가 진작되었고 그의 제자 혜심과 몽여 등 문도들이 사주가 되어 결사정신을 선양하면서 그의 문손을 포함하여 15사주가 고려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하지만 당대에 왕사로 책봉된 인물은 2인에 지나지 않았고 입적 후에 국사에 추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부의 사주는 행적조차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조선초 송광사 주지였던 고봉법장은 국사로 추증된 적이 없다. 이미 국사․왕사제도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필자가 아는 한, 기록에 의하면 송광사 16사주가 국사로 추념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중기 1621년 벽암각성의 동문인 代價希玉이 쓴 「十六國師眞影記」부터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고려말의 고승 나옹과 무학도 16국사에 버금가는 고승으로 추념되어 송광사 18주지로 설정되었다. 이는 송광사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趙宗著(1631∼1690)의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송광사가 승보종찰로 설정된 것은, 필자가 아는 한, 조선후기 1832년(순조 28) 문인 淵泉 洪奭周(1774~1842)가 지은 「淵泉翁遊山錄」이다. 앞으로 더 정치한 연구를 통해 승보종찰로서의 설정과 그 의의가 좀 더 명확히 밝혀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Among the three treasure temples in Korea, the Songgwang temple has been called the sangha treasure temple, because it produced the sixteen national monks. However, its origins and when it was designated was not known accurat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he sixteen master monks of the Sooseon temple (the present Songgwang temp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how long they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also when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The Songgwang temple developed after Jinul had established an integr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n, Jinul’s disciples such as Hyesim and Mongyeo enhanced the spirit of the movement as a chief leader, and the sixteen master monks including Jinul’s disciples led the Buddhist circ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only two monks were designated as king’s adviser at that time and designation of national monk was bestowed after they entered nirvana. Moreover, in case of some chief monks, even their performance was not known. A chief monk of the Songg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bong Beopja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ixteen chief monks at the Songgwang temple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in the ‘Ship-youk-guk-sa-jin-young-gi (十六國師眞影記)’ written in 1621 during the middle Joseon Dynasty by Daega Heeok (代價希玉), Byeokam Gakseong’s fellow disciple. Naong and Muh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esteemed as high priests comparable to the sixteen national monks and designated as among the eighteen chief monks of the Songgwang temple. This is described in the ‘Seung-pyung -jo-gye-san-song-gwang-sa-sa-won-sa-jeok-bi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written by Jo Jong-jeo (趙宗著, 1631- 1690) who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Songgwang temple.
    Also, the fact that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can be found in the ‘Yeon-cheon-ong-you-san-rok (淵泉翁遊山錄)’ written in 1832 (the eighth year of King Soonjo) by Hong Seok-ju (洪奭周, 1774-1842),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ansty. I hope that more specific findings about its designation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and significance will be produced by thorough research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