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세채의 학문과 儒學史 인식 (Park Se-chae's Scholarship and the Recognition of Confucianism Hi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06
35P 미리보기
박세채의 학문과 儒學史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2호 / 269 ~ 303페이지
    · 저자명 : 고영진

    초록

    이 글은 17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학문적․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朴世采의 학문적 성격과 조선 유학사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박세채의 사상 형성과정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기와 둘째 시기인 17세기 중․후반에는 주자와 이이의 학문에 기반하여 자신의 사상을 정립해 나갔으며, 셋째 시기인 17세기 후반에 가서는 老․少分黨 등 정치적 격변 속에서 皇極蕩平論을 제시하고 이황사상 등에 포용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신흠에서 부친으로 이어지는 가학과 스승 김상헌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윤근수→김상헌→박세채로 이어지는 학문의 흐름은 성혼→윤선거→윤증으로 이어지는 학문적 흐름과 서로 결합하여 소론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박세채의 사상적 특성은 그의 저술인 『東儒師友錄』으로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 책은 박세채가 조선의 道學師友의 연원이 泯滅된 것을 염려하여 신라의 설총․최치원으로부터 시작하여 총 766명의 조선 유학자를 시기별․문인별로 정리해서 편찬한 것이다.
    고려 말 성리학이 도입되면서 형성되기 시작한 학문적 동류의식과 道統의식의 산물이기도 한 이 책에서 박세채는 자신의 주관적 서술은 피하고 타인이 서술한 자료를 인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인용한 자료의 전거를 대는 등 나름대로의 객관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혼의 문인을 가장 많이 수록하고 이이에 대한 서술 분량이 이황에 비해 거의 2배에 이르는 등 이황․조식학파보다는 이이․성혼학파에 더 비중을 두고 서술하였다. 이는 소론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김안국과 이중호․김식․유우․김인후 등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학자들의 문인들을 많이 수록하고 자신이 가장 높이 평가하는 인물에 김안국․서경덕․성혼․정구 등을 포함시켜 다양한 인물, 학파와 맥을 닿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유사우록』에서 주목되는 또 하나의 사실은 호남 유학자에 대한 서술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박세채의 선조인 박상충을 비롯하여 15~16세기 호남유학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거의 망라되어 있는데 이는 호남지역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도동연원록』이나 『동유사우록』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 중기 저술되는 『연원록』이나 『사우록』에는 學統과 道統뿐만 아니라 지역적 요인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동유사우록』은 박세채 사후 문묘종사나 노소대립 과정에서 대표적인 업적으로 제일 먼저 언급되고 간행을 요구하는 사실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 후기 당시 당대인들에 의해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he observation of the academic feature and recognition of Confucianism history of Park Se-chae who was the representative Confucianist in late 17th centur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ademia and politics.
    The formation process of Park Se-chae's thoughts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middle and late of 17th century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period was established on his aspect based on the scholarship of Chu Tzu and Yi I, and he suggested Hwanggeuktapyungron(皇極蕩平論) in political crisis including Nosobundang(老少分黨) in late 17th century and showed his comprehensive figure on Yi whang's thoughts. This can be caused by effects of the learning from Shin Heum and his father and his master, Kim Sang-heon.
    And an academic stream continuing Yoon Keun-soo→Kim Sang-heon→Park Se-chae was combined to an academic stream of Seong Hon→Yoon Seon-geo→Yoon Jeung and became the base of Soron's thoughts.
    The feature of Park Se-chae' thoughts can be reviewed through 『Dongyusaurok(東儒師友錄)』 which is his writing. This book is the product of same kind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confucian orthordoxy(道統) that was started to generate from introducing Neo-Confucianism.
    This book selected people with choice based on the correct scholarship(正學) and the Confucian philosophy(道學), and did not describe people's name in uniformly. That is, he used the title(號) or posthumous title(諡號) and added ‘Master’ to people who he respected.
    Another fact noted in 『Dongyusaurok』 is many descriptions about Honam Confucianist. Park Sang-chung as the ancestor of Park Se-chae make a academic interchange with Jeong Mong-ju and served with distinction to accept Neo-Confucianism. And honam Naju area was his basic ground.
    Therefore, the family of Park Se-chae left early the base and took his place in Seoul and there was not regional base in Honam but the connected consciousness remain on his memory. This affected 『Dongyusaurok』.
    There was too many people recorded in 『Dongyusaurok』 including Park Sang-chung who is the ancestor of Park Se-chae, Choi Duk-ji and Lee Seon-je who contributed propagate Neo-Confucianism to Honam area in 15th century, people with a school of Kim Kwaeng-pil and Choi Bu, Song Heum, Yi Hwang, Kim An-guk who consistute the academic stream of Honam Sarim in early 16th century, and people with a school of Song Sun and Seo Gyung-duk who strongly contributed its scale and theory of Honam Confucianism to the best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As shown in 『Dodongyeonwonrok(道東淵源錄)』 or 『Dongyusaurok』, we know that not only the academic and Confucian stream but also regional factor affected in 『Saurok』 that was written in the middle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