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 (The Value of Jeju Folk Songs as Cultural Hi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4
37P 미리보기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5호 / 73 ~ 109페이지
    · 저자명 : 좌혜경

    초록

    제주민요는 제주섬의 자연․역사․사회의 산물로, 노래 가사에는 구전 당시의 시대상과 더불어 섬사람들의 삶과 인식이 잘 반영되고 있다.
    현대에 오면서 문명의 발달로 인한 기계 활용과 농약 사용으로 식구 중심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지던 일들이 대규모의 농사로 전환된다. 이러한 노동이나 의식 관련 가창 기연이 사라짐에 따라 제주민요는 소멸 과정을 겪고 있으며 후대 전승이 불가한 실정이다. 그래서 제주도는 제주민요의 보전을 위해 이미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와 도 지정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전승을 위해 힘쓰고 있다.
    현재 제주민요가 왜 보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 지표 설정 등을 위해서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는 제주민요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와 경향을 파악하여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초석을 다지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민요는 제주섬 여성공동체의 생활 문학의 진수를 잘 보여주고 있고 사람, 자연, 신, 동물과 소통하는 원시적 사고가 노래 속에 담겨있다, 또 구술 전승 속에서 문학, 음악 양식이 다양하게 변용되고 창법이 창안되면서 시공을 배경으로 다양한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민요는 공동적 정서를 바탕으로 개인의 서정적 자아도 잘 표출되고 있다. 특히 염세적 정서가 구체적으로 가시화되고 역설의 방식으로 의미를 강화하고 있다.
    노래의 효용적 가치는 육체적․정신적인 면에 주어지는 현재의 고난 극복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노래’, ‘소리’, ‘놀래’의 기능은 노동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한국 본토의 민요 혹은 외국 섬 민요와 비교연구 등으로 차후 보완될 것이다.

    영어초록

    Jeju folk songs are the products of the nature, history and society of Jeju Island, and the song lyrics represent the zeitgeist as well as the islanders' perspectives on life at the time when the songs were made and sung. Reaching into modern times, small-scale farming using the labor of family members has been transformed into large-scale mechanized farming using agri-chemicals. As the chance to sing songs relating to work or rituals has disappeared, Jeju folk songs have been in a process of becoming extinct, which makes it hard to transmit them to future generations. Jeju folk songs were designated as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longside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part of an effort to preserve and transmit them. Currently, persuasive research is required on the value of the songs as cultural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policy-level indicators on why Jeju folk songs have to be preserved. This thesis lays the groundwork for the value of Jeju folk songs as cultural history by identifying the research results and trends so far.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Jeju folk songs represent the essence of practical literature of Jeju Island's women communities, embracing indigenous thought about communicating with people, nature, deities, and animals.
    -Through oral transmission, the songs have been diversely transformed in literature and music, and they have been differentiated through time and space.
    -The effective value of the songs are recognized for overcoming physical and mental hardship, and the function of the songs focuses on labor.
    -Jeju folk songs also express an individual's lyrical self based on collective sentiments. In particular, pessimistic sentiments are specifically shown, intensifying the meaning in a paradoxical way.
    -Discussion on the value of Jeju folk songs as cultural history is supplemented in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folk songs from the Korean mainland and the island regions of other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