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산 쌍계사의 근대 불화 연구 (A Study on Modern Buddhist Paintings at Nosan Ssanggyesa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논산 쌍계사의 근대 불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29호 / 33 ~ 65페이지
    · 저자명 : 이규희

    초록

    현재 논산 쌍계사 대웅전에는 1923년 대규모 불사 당시 제작된 <삼불회도>와 <신중도>가 봉안 되어 있다. 두 점의 불화는 청암 김윤환이 발원하고 시주했으며, 계룡산 화파로 알려져 있는 湖隱定淵, 普應文性, 春花万聰 등에 의해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쌍계사의 연혁과 불화의 발원자, 제작자, 화풍을 순서로 두 점의 불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당시 쌍계사의 상황, 사찰과 지역유지와의 연관성, 계룡산 화파의 불화 불사 현황과 화풍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1923년 쌍계사의 불사를 주도했던 김윤환은 공주 부호로, 고종 재위에 관리로 지냈고 자선사업과 불사로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었다. 이러한 김윤환의 후원으로 인해 사세가 기운 쌍계 사는 대규모 불사를 감행할 수 있었으며, 매년 물품을 시주받을 수 있었다.
    당시 <삼불회도>와 <신중도>의 제작은 계룡산 화파인 정연, 문성, 만총이 주도하였는데, 이들 은 189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그룹으로 활동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세 화승은 중국화보와 서양 화법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드러나며, 해당 작품의 상호나 옷, 구름에 음영을 주고 그림자를 표 현한 것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신중도>에서 사화상이나 관운장이 신장상으로 표현된다.
    1923년이 되면 정연, 문성, 만총은 후배들은 거느리고 불사에 참여했던 시기였기에 개인의 화 풍이 뚜렷한데, 이는 특히 만총이 출초로 기재된 <신중도>에서 확인된다. 화면 중앙에 조선 후기 관리형 도상 4위는 다른 신중도에서 볼 수 없는 유일한 사례인데, 이는 만총은 산신도, 현왕도 등 의 불화에 관리형 도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지닌 화승이기에 가능하였다. 이에 선행연 구에서는 조선시대 관리형 도상이 고종과 흥선대원군일 것이라는 추측 하였으나, 당시 사회 통념 상 임금의 의복과 얼굴을 공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당시 쌍계사의 불사에 중요한 인물인 김윤환의 모습을 4위의 관리형 도상으로 형상화하였을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된다. 특히 김윤환은 관직 생 활 중 4가지 품계를 받았는데, 이는 <신중도>에서도 네 가지 색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색상들은 실제로 계급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김윤환은 1923년 불사 당시 사세가 기운 쌍계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많은 돈을 백성과 사찰의 불사 등 사회에 환원했다는 점, 당시 여러 회사 를 차려 충청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높은 관직에 올랐던 명망 높은 인물인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

    영어초록

    Nonsan Ssanggyesa Temple enshrines two Buddhist paintings at Daeungjeon Hall, the temple’s Buddhist sanctum: Three Buddhas Painting(三佛繪圖),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神衆圖). They were created at the time of a mass Buddhist service held in 1923. The two paintings were commissioned and donated by Cheongam Kim Yun-hwan, and created by Hoeun Jeongyeon, Boeung Munseong, and Chunhwa Manchong, who are known as members of the Gyeryongsan school.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creators, commissioners, and styles of the two paint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Ssanggyesa Temple at the time, its relationship with local leaders, the status and style of the Gyeryongsan school.
    First, Kim Yun-hwan, who led the Buddhist service at the temple in 1923, was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Joseon. Being a man of vast wealth, he built a high reputation with charity works and Buddhist services. With support from Kim Yun-hwan, the Ssanggyesa Temple was able to hold large-scale services. Kim donated goods to the temple every year. The creation of Three Buddhas Painting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were led by Jeongyeon, Munseong, and Manchong, who were members of the Gyeryongsan school. The three artists worked as a group from the 1980’s to the 1930’s, which may explain their shared use of Chinese pictorial and Western painting techniques. This is evidenced by the shading of clothes and clouds and the expression of shadows in the two paintings. In addition, the guardians depicte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include Sha Wujing and Guan Yu.
    Their paintings in 1923 and later years show clearer marks of their individual styles, as the painters began to participate in Buddhist services with younger artists.
    This trend can be foun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for which Manchong is credited as having drawn the sketch. The painting is the only painting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that features four iconographies of government official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possible because Manchong was a monk painter who actively utilizes government official iconographies in his works.
    Previous studies speculat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 figures represent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four iconographies represent Kim Yunhwan, a key benefactor of the Ssanggyesa Temple because, at the time, the king’s closthes and face were not allowed to be disclosed. During his years as a government official, Kim Yun-hwan was granted four different ranks.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may represent the four ranks with four different colors.
    These arguments are based on a number of facts: at the time of the 1923 Buddhist service, when the Ssanggyesa Temple suffered from financial distress, Kim Yun-hwan fully supported the temple; Kim committed large amounts of money t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help the people and Buddhist temples; and he was a man of great reputation who founded several companies, had influence in Chungcheong-do, and rose high positions within the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