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안 개암사 <영산회괘불도> 연구 (A Study on Yeongsanhoe Gwaebul-do at Gaeamsa Temple, Bu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2
23P 미리보기
부안 개암사 &lt;영산회괘불도&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32호 / 93 ~ 115페이지
    · 저자명 : 신광희

    초록

    부안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조선 후기에 야외에서 행해진 불교 의식의 성격을 엿보게 해주는 대표적인 대형불화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 그림은 조선 18세기의 걸출한 불화승 의겸이 주도해서 그린 작품으로, 그의 활동 후반기 역량과 개성이 집약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이러한 이유로기존에도 이 그림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그 결과 의식집과의 연관성, 의겸의 화풍, 점안범자의 의미 등 다각도의 측면에서 그 의미가 조명되었다. 본고는 기존에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2가지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하나는 동일 초본의 분석이며 다른 하나는 의겸의괘불화 제작 방식이다.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전체 크기가 세로 1,321.0cm, 가로 917.0cm에 달하는 초 대형불화로 삼베 바탕에 채색되었다. 1749년에 의겸의 주도로 제작되었으며 현존하는 괘불화 중 전체 면적의 크기가 가장 크다. 또한 조선 17-19세기 괘불화 중 유일하게 초본이 남아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렇듯 초대형 규모의 불화가 초본까지 온전하게 남아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논문에서는 채색본과 초본을 비교하면서 도상 및 채색의 진행 과정, 화법의 완성도, 그리고 제작방식의 일면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18세기의 위대한 화승의겸이 그린 5점의 괘불화 중 마지막 작품이다. 의겸은 개암사본을 제작하면서 선행도상을 계승하면서도 자세, 채색, 문양 등을 변용하면서 개암사본만의 개성을 확보했다. 특히 괘불화라는 주제에 맞게 현현성이 두드러지는 동시에 필선이 유려하고 문양이 곱고 아름다우며 눈에 잘 보이지않는 아주 작은 부분까지도 세밀하게 표현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의겸은 개암사 괘불화를개암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등초 단계에서 바탕감을 크게 둘로 나누어 작업하고 이후 연접한 후 채색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또한 불·보살의 신체 곳곳에 범자가 확인되는데, 범자 위에채색을 올린 부분이 많은 것으로 미루어 의겸이 점안 범자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확인했다.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함께 남아 있는 <영산회괘불도 초본>과 더불어 조선후기 괘불화 연구의 기준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더 나아가 조선불화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는데도 가치가 큰 역작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ainting of Yeongsanhoe Gwaebul-do at Gaeamsa Temple in Buan is a representative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that shows an aspect of Buddhist ri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is was led by monk painter Eui-gyeom, and is also famous as a work that shows his ability and personality. Therefore, this painting has already receiv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an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with ritual texts, painting style, and the meaning of Sanskrit characters have been known. This paper dealt with two contents in addition to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ne is the analysis of the initial sketch, and the other is Uigyeom's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production method. Gaeamsa Yeongsanhoe Gwaebuldo is an extra-large Buddhist painting with a total size of 1,321.0cm in height and 917.0cm in width, and is painted on hemp cloths. This painting was produced under the leadership of Uigyeom in 1749, and has the largest total area among the extant gwaebulhwa. It is also the only work of which a initial sketch remains among the Buddhist hanging paintings produced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very important that Gaeamsa Temple, that is, that a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has survived to the sketch. This is because, comparing the colored picture and the sketch, one can more specifically check the iconography, the process of coloring, and one aspect of the production method. Also, Yeongsanhoe Gwaebul-do of Gaeamsa Temple is the last of five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painted by the great painter Uigyeom of th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While Uigyeom inherited the preceding iconographies while producing Gaeamsa Yeongsanhoe Gwaebul-do, he transformed the postures of Buddha and Bodhisattvas, the coloring, and the shape of patterns. In particular, he painted it so that it could be seen from a distance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and at the same time, he painted even the smallest details in detail. Uigyeom is believed to have painted this painting at Gaeamsa Temple. And he used the method of dividing the base material cloth into two parts, copying the sketch, connecting the cloths, and then coloring them. In addition, Sanskrit characters are found all over the bod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it is possible that Uigyeom wrote these Sanskrit characters. Yeongsanhoe Gwaebul-do and the initial sketch of Gaeamsa Temple are important enough to be called standard works for the study of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more, it is of great value in understanding the trend of Buddhist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