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꼼’장어의 문화사적 접근 (The Cultural and Historical Approach of the Blind Eel(꼼장어))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12
18P 미리보기
‘꼼’장어의 문화사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 / 85호 / 445 ~ 462페이지
    · 저자명 : 나도원

    초록

    꼼장어는 곰장어가 경상도 사투리로 된소리화된 것이다. 꼼장어의 정식 명칭은 먹장어인데, 먹은 검다, 컴컴하다는 의미의 순우리말로 먹장어 눈이 퇴화하여 수염과 같은 더듬이로 먹이를 찾는 모습에서 이름 붙여진 것이다. 곰장어가 꼼장어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머리 된소리 현상 혹은 두음 경음화 현상이라고 한다. 말머리 된소리화는 음절의 앞에 위치하므로 음운론적 영향 관계보다는 외적인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 먹장어라는 기의(signifié)의 측면에서 보자면 ‘꼼장어’와 ‘곰장어’는 같은 기표(siginifiant)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말처럼 각 기표에는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신념과 가치가 부착되는 내포적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본고는 ‘꼼’장어에 대해 식용의 역사와 사회적 배경을 문화사적 관점에서 접근해봄으로써 ‘꼼’장어가 곰장어와 다른 내포를 가진 기표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꼼’장어가 식용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에 접어들면서부터이고 부산과 경상남도 일대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전국으로 알려졌다. 꼼장어의 식용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1970년대와 80년대의 부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경공업 중심의 수출주도산업화, 살아있는 날 것의 꿈틀거림, 거칠고 투박한 부산 사투리, 그리고 서민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특징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정체성은 바로 ‘저항’이다.

    영어초록

    ‘꼼장어’ is a word-initial glottalization phenomenon in which ‘곰장어’ is pronounced as ‘꼼장어’ in the Gyeongsang-do dialect. The official name for ‘꼼장어’ is ‘먹장어’. ‘먹’ is a pure Korean word meaning ‘black’, and ‘먹장어’ is named after its degenerated eyes and the way it looks for food with its whisker-like antennae. The phenomenon of ‘곰장어’ being pronounced as ‘꼼장어’ is called word-initial glottalization. Since word-initial glottalization is located before the syllable,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is greater than that of phonological influ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gnifié of ‘먹장어’, ‘꼼장어’ and ‘곰장어’ are the same signifier.
    However, as Roland Barthes said, each signifier has different connotative meanings attached to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beliefs and values.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argue that ‘꼼장어’ is a signifier with a different connotation from ‘곰장어’ by approaching the history and social background of food for ‘꼼장어’ from a cultural history perspective.
    People started eating ‘꼼장어’ in the modern era, and it started mainly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nd became known throughout the country. The skin of the ‘꼼장어’ was useful, but the meat was discard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rving Koreans survived by eating discarded meat of ‘꼼장어’.
    During the Korean War, hungry refugees who fled to Busan ate it.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there were times when the skin of ‘꼼장어’ was useful, and there were times when the meat was useful. The ‘꼼장어’ is alive and writhing. It continues to wriggle until it is completely cooked over the fire.
    ‘꼼장어’ shows its own resistance over fire. ‘꼼장어’ was the food of the rough and rugged common people of Busan. When people in Busan eat ‘꼼장어’, they are eating the identity of ‘꼼장어’.
    One identity that run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is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