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 (The Meaning of Ham Seok-heon’s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01
33P 미리보기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36호 / 535 ~ 567페이지
    · 저자명 : 전용호

    초록

    이 논문은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를 고난의 시학, 민중문학, 생명 사상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함석헌은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한국사 전체를 고난의 역사로 기술하였다. 고난사관으로 명명되는 이 역사관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다. 1930년대 식민지의 어둠 속에서 함석헌은 제국주의 지배로 인해 생긴 민족의 상처를 예수의 십자가 고통에 비유하였다. 고난과 고통 속에서 구원이 이루어진다는 기독교적 인식은 세계에 내재하는 고통과 상처의 의미를 성찰하고자 하는 문학자들의 사유와 연결된다. 김현이 함석헌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한 권의 문학적 수필로 읽고 ‘고난의 시학’이라는 한국시의 유형을 발견하는 것은 이 맥락에서이다.
    함석헌은 1970년 11월 13일의 전태일 사건을 예수의 십자가 사건과 같은 것으로 인식하고 『씨알의 소리』에서 노동자와 농민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였다. 1970년대 현실의 맥락 속에서 ‘씨알의 소리’는 ‘민중의 소리’가 되었다. 씨알을 하느님과 통하는 존재로 본 함석헌의 생각은 그것을 좀더 사회계급적 관점으로 변형한 민중신학이라는 한국적 신학이론을 형성하게 하였고, 민중신학과 민중문학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전개되었다. 함석헌의 씨알사상은 민중신학, 민중문학과 함께 1970년대와 80년대 한국사회의 민주화에 기여한 저항 담론이었다.
    함석헌의 씨사상은 생태주의 담론이 유행하기 이전에 동서양 사상을 종합하여 생명 세계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씨이란 말이 이미 생명의 은유를 담고 있으며, 종교적 감수성에서 나온 표현이다. 함석헌 사상은 대중의 일상과 자질구레한 상처들, 풀씨처럼 작고 여린 것들의 한가운데에 하느님이 있다는 깨달음을 준다. 여기에 함석헌 사상이 지금 우리 문학에 작용하는 힘이 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ppreciate the meaning of Ham Seok-heon’s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m Seok-heon was one of the original thinkers in the twentieth century in Korea, and he was actively engaged in social reform. In his well known book “A Korean History, Viewed Through Meaning,” Ham Seok-heon considered the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y of suffering and hardships, and this kind of viewpoint was originally came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Ham compared the national hardships of the Korean colonial period to the pain of the Jesus who was bearing his cross. The Christian thought which believed in salvation out of hardships and pain linked to the thought of literary critics who tried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Korean’s pain and hardships. In this vein, the well known critic Kim Hyun who had shared Ham's viewpoint remarked ‘the poetics of suffering’ and made it a peculiar category of Korean poetry.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 keyword of Ham Seok-heon’s thought became the word Sial, which was the original Korean word indicating the seed and core. Ham asserted the problem of the peasant and working class in his journal the Sound of Sial and actively engaged in the resistance movement. As a result, the Sound of Sial became the sound of Minjung(people), and Ham’s thought and resistance movement had become a powerful spur which generated the theory of Minjung(people)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and the 1980s. Representing the core, the etymology of Sial involved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Ham’s thought could be said to be based on the ecological concepts and religious sensibility. As the keyword of his thought represented, the point of Ham’s thought was to make the people feel the god in a small and fragile things like the seed of grass, and this gave a great inspiration to modern Korean wri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