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인 용장사의 연혁과 출판 (Taein Yongjangsa and Publish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태인 용장사의 연혁과 출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87호 / 233 ~ 266페이지
    · 저자명 : 허인욱

    초록

    전북 정읍 산내의 雲住山에 위치했던 龍藏寺는 후백제대에 운주 조통에 의해 창건되어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 후기까지 사세를 유지했다. 용장사는 龍藏社, 雲住寺로도 불렸는데, 지역사람들은 운주산에 있는 절이라 하여 雲山寺라고 부르기도 했다. 용장사는 불교사찰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태인을 중심으로 해 주위 유학자 간 혹은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과의 교류 및 강학 장소로 활용 또한 지역 유학자들의 정치 결사의 장소로도 이용되었다.
    용장사에서 간행된 불서는 1432년에 1종, 1635년에 11종, 1670년에 1종 등 13종의 불서가 찾아진다. 이 가운데 1635년경의 불서 간행은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이후 태능 소요와 같은 서산계와 백암 각성과 같은 부휴계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대선사들의 불사 참여는 용장사의 寺格 및 역사적 가치가 당시 승려들에게 인정되었음을 말해준다. 불서 간행은 강학교육과 망자 추모, 불교대중의 신앙적 요구 부응 등의 복합적인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주자전서』나 ‘사서언해’와 같은 유학서도 간행되었는데, 여기에는 태인지역이 유학 교육의 바탕이 잘 갖춰져 있었다는 데서 기인한다. 이 가운데 『주자전서』는 5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완성되었는데, 이는 전라감사였던 원두표와 벽암 각성과의 친분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불교계가 강학 자료 필요성 등 여러 목적으로 불서를 간행하려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활용하여 간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용장사에서의 출판은 1670년 이후로 찾아지지 않는데, 시간이 흐른 뒤 방각본이 태인에서 활발하게 간행되는 것을 고려하면, 방각본 간행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Yongjangsa(龍藏寺, Temple of Yongjang) was founded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and maintained its current status through the Goryeo Dynasty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also called Unjusa(雲住寺, Temple of Unju) because it was located in Unjusan Mountain, and local people called it Unsansa because it was a temple located in Unjusan(Mountain of Unju). Yongjangsa was used not only as a Buddhist temple, but also as a place to exchange and lecture with officials dispatched from the surrounding Confucian scholars or from the center. It was also used as a place for political associations for local Confucian scholars.
    13 types of Buddhist books published in Yongjangsa, including 1 type in 1432, 11 types in 1635, and 1 type in 1670. Among them,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around 1635 was made i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e of great Buddhist monk Seosan such as the Taeneung, and the disciple of great Buddhist monk Buhu such as Byeokam Gakseong and The high-ranking monks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indicating that Yongjangsa's position and historical value in Buddhism were recognized by the monks at that time. At that time,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was made for a complex purpose, such as education for lectures and memorializing the deceased.
    In addition, study abroad books such as "Jujajeonseo(朱子全書)" and "Saseo Eonhae(四書諺解)" were published,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Taein area was well established for study abroad education. Among them, Jujajeonseo was completed in a short period of 5 months, which can b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n Doo-pyo(元斗杓), who was a Jeolla auditor, and Byeokam Gakseong. At that time, the Buddhist community was able to publish Buddhist book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he need for lecture materials, by utilizing the work being carried out.
    Publication in Yongjangsa Temple has not been found since 1670,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influenced the active publication of Banggak copies(坊刻本) in Taein over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