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전반 시가사의 변화와 새로운 과제 - 17세기 전반 정치․사회 변동과 시가사(2) - (The Changes and New Problems to understandingthe trend of Siga in first half of 17th century - The Political - Social spectrum in first half of 17th centuryand the trend of Siga(2)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12
32P 미리보기
17세기 전반 시가사의 변화와 새로운 과제 - 17세기 전반 정치․사회 변동과 시가사(2)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32호 / 153 ~ 184페이지
    · 저자명 : 최재남

    초록

    본 논문의 목표는 17세기 전반 정치․사회의 변동과 관련하여 시가사의 추이를 살펴서 17세기 후반과 그 이후 시가사의 지남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17세기 전반 정치․사회의 변동과 관련한 시가사의 추이에서 주목할 내용은 여악의 재설치, 사부에 대한 예우, 무반의 위상 변화 등이다.
    여악의 재설치하고 장악원 기악을 다시 설치하면서 지역에 있던 가기를 서울로 불러올리면서 레퍼토리의 교류가 일어나게 되었다. 관서의 가기 향란과 문향의 경우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대부가에서 가기를 데리고 있으면서 그들 개인의 사연에 활용하면서 이들 연향 문화에 변화가 일어났다.
    사부에 대한 예우를 통하여 자기 당파의 도덕성을 해명하기도 하고 이를 통하여 <훈민가> 등의 보급이나 <고산구곡가> 한역에서 보듯 당파의 정치적 목표에 활용하기도 한 것이다.
    17세기 전반 전쟁과 정변으로 무반의 위상이 변화하거나 변새의 무반이 기녀들과의 수작을 통하여 무반을 통한 시가 향유가 광범위한 현상으로 나타났고 장만․정충신․구인후 등 공신들을 중심으로 일변으로 무변 풍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되고 있었다.
    한편 시대의 변화와 관련한 시가사의 과제는 기상의 저상 문제와 상시․우국의 태도, 궁정과 외부의 연결과 관련한 시가, 사행역관의 위상과 가객으로의 전환 등이다.
    <철령가>에서 야기된 기상의 저상 문제가 사대부 내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면, 일상의 유학적 상식을 터득한 무인이나 생원은 오히려 우국(憂國)과 비분(悲憤)을 직설적으로 토로하고 있었다.
    궁정의 인물과 외부의 연결에서 비롯된 여러 가지 남녀 사이의 문제는 『청구영언(진본)』 「만횡청류」와 「무명씨」에 수록된 작품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장현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 사행역관의 위상과 가객으로의 전환은 17세기 후반 이후의 실상으로 확산시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trend of Siga in first half of 17th century.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Social spectrum in first half of 17th century, The trend of Siga is very multifarious and meaningful. And we are able to expect the new trend of Siga in second half of 17th century.
    The trend of Siga in first half of 17th century i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are various kinds interchange of repertoire in proportion to reestablish the Yeoak(女樂).
    Second, There is important honorable treatment to master in factions, and the separation of confrontation of Siga is extended.
    And the third, there is the change of position of the military nobility and the refinement of military nobility is connected the second half of 17th century.
    The new trend of Siga in first half of 17th century i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are two tendency between an attitude of feeling anxiety about the dejection of spirit of Sadaebu(士大夫) and one’s intense patriotism or indignation of the military nobility(武班).
    Second, We are able to comprehend 「Mumyungssi(無名氏)」 and 「Manhwoing- cheongryu(蔓橫淸類)」 of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in connection with the women of the court and outer men specially bonze of Yujeomsa(유점사).
    And the third, we are able to attention to the role an official interpreter and the transposition to a sin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