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자의 책읽기 1970-80년대 노동(자)문화의 대항적 헤게모니 구축의 독서사 (Reading of Laborers ― the history of reading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counterhegemony in the labor culture of the 1970s and 1980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06
50P 미리보기
노동자의 책읽기 1970-80년대 노동(자)문화의 대항적 헤게모니 구축의 독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86호 / 73 ~ 122페이지
    · 저자명 : 정종현

    초록

    이 글은 1970-80년대 노동자와 저항적 지식인이 남긴 수기와 구술 자료 분석을통해 노동자들의 주체화와 대항문화 형성에 작용한 책읽기의 영향을 검토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당대의 권장도서와 금서 목록을 종합하여 지배와 저항에 관련된 책의 세목과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노동운동의 독특한 현상인‘학출’ 및 노동자들의 의식화에 관여한 독서 목록을 각종 자료의 분석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특히 1970년대의 사회민주주의, 제3세계론, 해방신학, 교육개혁론,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 등 대항문화를 구성했던 다원적인 지식들이 ‘80년 광주’를 거치면서, 교조적 마르크스주의 이념으로 단선화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지식인과 노동자들의 교섭 속에 그람시적 의미의 ‘유기적 지식인’ 형성의 가능성을 보였던 1980년대가 환멸과 신화의 서사 속에 망각되거나 폭력적으로 청산되어서는 안 되며, 다시금 현재화되어 논의될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moirs of laborers anddefiant intellectuals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 data of their oralstatements in an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influence of reading on thesubjectivation of the laborers and the generation of a counterculture. Afterthe recommended book lists and banned book lists of the two decades wereanalyzed to look into the details and contents of the books related todominance and resistance, all sorts of relevant data were analyzed to make alist of books related to the conscientization of the laborers and ofhakchul(student-turned-laborers) that was one of unique phenomena ofKorean labor movement. One noteworthy finding was that various sorts ofknowledge of the 1970s(social democracy, third world politics, liberationtheology, theory of educational reform and critical theory of Frankfurtschool) which made up contemporary counterculture were simplified intodoctrinaire Marxism after the 1980 Gwangju uprising took place. The 1980sthat showed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organic intellectuals based onGramsci's view through negotiation between intellectuals and laborers shouldnot be sunk into oblivion under the influence of disillusionment or myth,and no retaliatory, violent action should be taken against what happened inthat period, either. Indeed, the period is definitely be worth discussing at thispoint of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