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무엘상 9-15장과 사무엘상 31-사무엘하 4장의 사울과 다윗 왕위 등극 역사 편집사 재평가: 최신 학계 동향과 편집사 새 모델 제안 (Reevaluations of the Composition History of Saul’s and David’s Rise (1 Sam 9-15; 1 Sam 31-2 Sam 4): Recent Scholarly Discussions and New Model of the Composition Histor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3
47P 미리보기
사무엘상 9-15장과 사무엘상 31-사무엘하 4장의 사울과 다윗 왕위 등극 역사 편집사 재평가: 최신 학계 동향과 편집사 새 모델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15권 / 163 ~ 209페이지
    · 저자명 : 이삭

    초록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첫째, 사울 왕위 등극 역사(History of Saul’s Rise (HSR): 삼상 9-15장)와 다윗 왕위 등극 역사(History of David’s Rise (HDR): 삼상 16-삼하 4장)의 편집사에 대한 최근 학계의 동향을 살피고, 둘째, “사무엘상하를 신명기적 사가(들)의 편집 문서로 이해할 수 있는가”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최근 학계의 입장을 제시하며. 셋째, 필자만의 HSR와 HDR(삼상 16-삼하4장) 중 HDR*(삼상 31-삼하 4장) 편집사 모델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해당 본문 편집사(composition history)를 재평가하여 문학적 편집층들의 논리적 선후관계, 역사적/고고학적 자료들을 토대로 사울과 다윗 왕위 등극 기본 이야기 전승들이 당시 사울과 다윗의 재위 기간 혹은 그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베냐민 지역과 유다 지역을 중심으로 별도로 구전으로 전달되다가, 머지 않아 문서로 형성되어 전달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필자는 사울 왕권에 대한 긍정적 평가들과 비판적 요소들이 비신명기적이며, 이 요소들 전체가 왕정시대 후반/요시야 시대보다 후대로 편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마도 포로기 때, 베냐민의 상징인 사울에 대한 역사 재평가가 형성되며 우선 HSR 안에서만 사울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포괄하는 두차례 편집이 일어났다. 그 이후 유다와 다윗의 후계자를 자칭한, 바빌론 포로귀환민인 골라 공동체(Golah community)에 의해 사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페르시아 시대 초반기 두차례 편집을 통해 굳혀졌다. 또한, 이 시기에 HSR와 HDR이 처음으로 하나의 문서로 통합되었는데 사울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다윗 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신학적 재해석의 일환이며 HSR보다 HDR이 신학적으로 우월하다는 근거 하에 엮인 결과였다. 페르시아 시대 중반기 이후, 유다의 베냐민에 대한 정치적/이데올로기적 우월성은 유지되며 유다와 베냐민 지파가 함께 강조되는 시대적 정황이 형성되었다. 이에 다윗의 왕권 확립에 대한 정당성 재확립과 사울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연민)가 담긴 최종 편집이 HSR과 HDR*의 통합 문서에서 일어났다. 위와 같이 HSR와 HDR* 편집사는 별도로 존재했던 사울과 다윗 왕위 등극 역사인 HSR와 HDR이 포로기 전후로 통합될 때, 다음 신학적 요청들―사울의 후계자로서 다윗 왕권의 정당성 확보와 다윗-유다의 사울-베냐민에 대한 정치적/이데올로기적 우월성 강조와 사울-베냐민을 무시할 수 없는 신학적 요청들―의 반응에 따라 복잡다단하게 발전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author explores recent scholarly perspectives on the composition history of the History of Saul’s Rise (HSR: 1 Samuel 9-15) and a portion of the History of David’s Rise (HDR*: 1 Samuel 31-2 Samuel 4, within HDR, 1 Samuel 16-2 Samuel 4), respectively. The author also reexamines the current scholarly stanc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book of Samuel can be seen as edited Deuteronomistic historian(s)’s documents.” Based on a reappraisal of previous scholarly works, the author proposes his composition history model for the above biblical passages. According to the author’s opinion based on the logical sequencing of literary layers and the support of historical/archaeological evidence, the basic stories of HSR and HDR* were crystallized as oral traditions after the reigns of Saul and David, then formed in writing shortly thereafter in the regions of Benjamin and Judah. During the Babylonian exile, a reassessment of Saul began, initially in HSR, then solidified negatively by the Golah community in HDR during the early Persian period. The integration of HSR and HDR*, which occurred at that time, aimed to legitimize David’s monarchy, emphasizing HDR’s theological superiority, signifying Judah’s superiority over Benjamin. Subsequently, the final and ultimate editing, which encompassed a compassionate reassessment of Saul, was carried out within the intergrated HSR and HDR* during the mid-Persian period. In conclusion, the composition history of these narratives has evolved in response to theological demands, focusing on legitimizing David’s kingship, emphasizing the political/ideological dominance of David-Judah over Saul-Benjamin; however, it has also provided a balanced view of Saul, reevaluating him with empathy within the broader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ext of the biblical narr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