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Reconsidering nationalistic describing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 focus on Hyeon, Sang - Yun's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11
32P 미리보기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7권 / 187 ~ 218페이지
    · 저자명 : 정성희

    초록

    현상윤은 유학자의 집안에 나서 어린 시절에 유학을 습득하였지만 10대 후반기부터 식 민지 근대교육을 받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대학교육까지 마치면서 유교망국론적 식민사 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인물이다. 그러나 40대 이후에는 유학에 대한 시각에 변화가 오 면서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는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이후 해방을 맞이하고 또 다른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현상윤은 조선유학사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나온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조선 말기부터 있어온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의 마무리이자 이후 현대 유학계의 유학사 서술의 새 장을 여는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유학사의 바탕을 흐르는 유학사관이 민족주의라면 그것을 서술하는 방편은 모 화사상 비판과 춘추필법적 서술방식이었다. 모화사상은 현상윤이 조선유학의 ‘죄’로 들 고 있는 여덟 가지 중에 가장 먼저 들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현상윤은 모화사상을 비판하 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척사위정운동을 평가하고 있다. 즉 모화사상 비판이 중국에 대한 민족주의를 천명하는 것이라면 척사위정운동을 국권 옹호와 인륜도덕을 지켜내는 방파 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은 일본과 서양 세력에 대한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현상윤은 또 인물이나 사상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정하고 거기에 따라 포폄을 가하고 있다. 그 기준은 ‘절의’와 ‘실천’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정도전이나 권근 등 고려말에서 조 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에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조선초기의 유학에서 절의문제 를 정식으로 제기하여 사육신과 생육신, 공신의 문제를 언급한다. 조선 말기의 척사위정 운동에 대해서도 춘추대의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현상윤은 ‘실천’을 또 다른 기준으 로 제시하는데, 조선 초기의 지치주의를 유학사상의 정치적 실천으로 보고 있다. 실천성 에 대한 중시는 조선 후기의 경제학파에 대한 서술에서도 두드러진다. 조선유학사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서술은 현상윤이 조선 유학의 독자성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현상윤의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은 격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신적·문화적 주체성을 잃지 않고자 하는 지식인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부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朝鮮儒學史) of Hyeon Sang Yoon is the the most authentic version which describes Korean contemporary Confucianism based on national view of history. He was a historian rather than a Confucian schola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Confucian schola and studied Confucianism since childhood, He studied history in the university and was an intellectual who learned modern sc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ys. Hyeon Sang Yoon revealed his view of history clearly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I thought that his view of Confucianism was based on nationalism, and as the method for this he criticized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he emphasized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 the method of describing Chunchu of Kong zi),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Jang Ji Yeon accept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in The origin of Confucianism of Chosun (朝鮮儒敎淵源) Korean scholars considered the Confucianism of Chosun was originated from Kija(箕子). But Hyeon Sang Yoon deni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 子), he criticized that china worship(慕華思想) put our independent spirit to death.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ade a related chapter about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described it′s origin, representative persons, ideological influences. Such statements were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China. In the same vein he described ‘wijong-cheoksa’(衛正斥邪) movement seriously, but he did not referred any scholars who insisted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s. Adopting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evaluated scholars and their thoughts. Standard of the evaluation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and utility. It was an unexpected style of description in comparison with being influenced by historical positivism during his university years. His method of descrip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istory of Confucianism of Korea of Lee Byeong Do who studied together in Waseda university at the same period. Lee Byeong Do was influenced by Ranke who asserted historical fact. In this aspect he obviously stood in contrast with the historical view of Hyeon Sang Yoon. Hyeon Sang Yoon described that Jeong Do Jeon(鄭道傳), Kweon Kun(權近) and the other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did not keep fidelity to their principle as the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Moreover he described ‘sayuksin’(死六臣), ‘saengyuksin’(生六臣), ‘kongsin’(功臣) from the viewpoint of retainer's fidelity. He emphasized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entioned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of Cho Kwang Cho(趙光 祖) and practical science of Chosun which represent the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of Hyeon Sang Yoon was a result of history of national Confucianism which continued to Paidongyeonwanrok(浿東淵源錄) of Song Byeong Seon, Joseonyukyoyeonwon(朝鮮儒敎淵源) of Jang Ji Yeon, Dongyuhakan(東儒學案) of Ha Kyeom Jin, and besides, it is a foundation describ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