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독본문화사 연구 서설 (An Introduction to the Culture History of Modern Basic Read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12
40P 미리보기
근대 독본문화사 연구 서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3호 / 1 ~ 40페이지
    · 저자명 : 구자황

    초록

    이 글의 관심은 독본 혹은 독본 생산을 둘러싼 장면에 침전된 다양한 ‘정치적 · 문화적 위계의 흔적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근대 독본의 역사적 존재방식을 구체적으로 재구하려는 것인바, 여기서는 주로 2차 교육령기 조선총독부의 대표적인 조선어독본과 민간 독본을 우선 살폈다.
    당시 조선총독부의 조선어독본은 동일한 학제의 수립과 통합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불구하고 교수자와 학생들 사이에서 비판을 면치 못하는 수준이었다. 이것은 일제의 문화통합의 의도가 그대로 관철되지는 않았음을 의미한다. 일제는 스스로 식민지 조선의 역사를 만들었지만 그러나 그것을 자기의 뜻대로 만든 것은 아니었다. 식민지 조선의 역사는 일제가 ‘선택한 환경’ 속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 자기 앞에 ‘놓여 있는 환경’―이미 이루어졌거나 과거에서 물려받은―속에서 만든 것이다. 그리고 놓여있는 환경은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역류를 가능케 하여 민간 독본의 여지(餘地)를 마련함으로써 민간 독본의 생산 시스템을 촉진시켰다. 즉 죽은 전통을 새롭게 호출하기도 있고, 피식민지인의 생존 전략을 자극하기도 하였으며, 전유(專有)의 과정을 통해 탈영토화의 지렛대로 작용했던 것이었다.
    『조선어 독본』에서의 편지는 근대적 의사소통과 보편적 문식력의 차원에서 혹은 ‘현지’성을 강화하기 위한 독자 생산의 시스템이 개입된 것인데, 『시문독본』은 편지에 ‘문학적인 것’을, 기행(문)에는 ‘민족적인 것’이라는 표상을 덧씌움으로써 또 다른 의미의 적극적 생산을 시도하였다. 즉 독자의 내면을 표현하는 문종이자 미문(美文)에의 욕망을 자극하는 기제로 편지가 수용되었다. 또 기행(문)에서는 독자들의 내셔널리티를 길러주는 의미로 ‘자연’이 기능하면서 ‘재발견’되었던 것이다.
    총독부 편집과를 통한 독본에의 적극적 개입, 즉 독본 생산의 시스템과 민간독본의 제재를 공유하면서도 문화통합을 은폐하는 독본의 내용, 즉 독본의 생산 시스템은 일제의 조선어 정책과 교과서에 대한 접근을 지배/저항, 타율성/자율성 논의로 단순화할 수 없게 한다. 복수(複數)의 글쓰기 사이에 존재하는 길항(拮抗)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공존과 분할의 방식 및 상호영향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ook interest in investigating the “traces of diverse political and cultural hierarchie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scene around basic readers themselves or the production of basic readers. The ultimate goal was to reorganize the ways of modern basic readers' historical existence in specific ways. Examined in the study for the purpose were the major Korean basic readers issued by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the private basic readers during the period of Second Education Act.
    Although the Korean basic readers issued by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attempted to install the infrastructure(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to establish and integrate the same educational system across the nation, they attracted active criticism both from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hich means that the Japanese rulers' purport for cultural integration didn't pan out the way they intended. They made the history of colonized Chosun, but it was not according to their will. The history of colonized Chosun was not written in the “environment chosen by the Japanese rulers” but in the “environment given(or already formed or inherited) in front of them.” The given environment allowed for the “countercurrent of integration” and created a room for private basic readers, thus promoting the production system of private basic readers. In other words, it would call for the dead tradition anew, stimulate the survival strategy of the colonized people, or serve as a lever for deterritorialization through the appropriation process.
    The letters in the Korean Basic Readers were the results of the introduction of a reader production system to promote modern communication or overall literacy or to lecture about “locality.” In the Poetry and Prose Basic Readers, they covered the letters with “something literary” and the travel sketches with “something nationalistic” and thus attempted active production of a different meaning. That is, they introduced letters to the basic readers as a mechanism to describe the inside of the readers and stir their desire for beautiful writing. In the travel sketches, “nature” functioned to increase the readers' nationality and was “rediscovered.”
    The Edition Department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was actively involved in basic readers. The contents of the basic readers concealed integration while having the production system of basic readers share with the private basic readers in terms of materials and systems. That is, the production system of basic readers made it impossible for the Japanese rulers to simplify their approaches towards Korean language policies and textbooks in the logic of dominance/resistance and heteronomy/autonomy. Although the competition aspect present between plural writings is important, it's necessary to suppose the ways of coexistence and separation and the mutual influ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