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도권 지역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 행동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of Dietitians and Non-Dietitian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12
15P 미리보기
수도권 지역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 행동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6호 / 840 ~ 854페이지
    · 저자명 : 한순옥, 정복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는 영양사와 비영양사의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행동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인 서울, 경기, 인천에 근무하는148명의 영양사와195명의 일반취업여성인 비영양사로 총 343명을 대상으로2007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계측과 체질량 지수의 결과 신장과 체중 모두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 었으며, 체질량 지수 역시 두 집단 사이에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2. 영양지식의 전체 정답율은 77.3%로 나타났으며, 영양사의 경우 88.0%, 비영양사의 경우 73.1%로 두 집단 간의영양지식의 정답율은 유의적인 (p < 0.0001) 차이를 나타냈다. 영양지식 점수 또한 전체평균은 15.47로, 영양사는16.61, 비영양사는 14.60으로 유의성 (p < 0.001)을 보였다.
    3. 영양 태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36.40이었으며, 영양사는 36.66, 비영양사는 36.21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30대, 50대, 20대 순으로 나타나 유의적(p < 0.05) 차이를 나타냈다. 기혼자일수록(p < 0.0001), 직업경력이 많을수록 영양태도 점수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4.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식 행동에서 규칙적인 식생활 부분에서는 비영양사들 이 영양사들에 비해 대부분의 문항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균형 잡힌 식생활 부분에서는 일부는 즉 매끼 육류, 생선, 달걀, 콩, 채소, 식용유를 섭취하는 비율에서는 영양사들이비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우유, 과일, 균형식을 섭취하는 비율에서는 영 양사들이비영양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과 관련된 식 행동 부분에서는 가공식품 섭취율, 음식을 싱겁게 섭취 하는 비율, 동물성 지방 섭취 비율(p < 0.05) 이 영양사에 비해 비영양사들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 < 0.05) 차이를 나타냈다. 실생활에 영양지식 실천율 에서는 영양사들이 비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 < 0.0001) 차 이를 나타냈다. 식 행동의 전체 평균 점수는 62.08 이었으며, 영양사는 61.52, 비영양사는 62.50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 행동과의 상관관계는 영양 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과 영양태도사이에 유의적인 상관(p < 0.05)이 나 타나 영양지식이 높으면 영양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지식과 식 행동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나 유의성이 없었고, 영양태도와식 행동 역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 < 0.0001) 차이가 있었다.
    6. 아침식사 섭취빈도는 일주일에 거의 하지 않는 비율이영양사가 비영양사 비영양사에 비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 < 0.0001) 차이가 있었다. 영양지 식 또는 정보 공급원은 영양사의 경우 주로 인터넷인 반면 비영양사의 경 우 인터넷 이외에 다른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제공받아 유의적인(p < 0.0001) 차이가 있었다. 정기적으로 먹는 약에 대한조사에서 약을 먹 지 않는 비율이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해약간 높았고, 무기질은 약간 높 은 반면 비타민과 보약은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001) 7. 월식생활비, 식단작성 및 식품구매에서는 식품구입 시유효기간이나 성분 등을 확인하는 비율이 영양사가 비영양사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p < 0.01) 차이가 있었으나다른 부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영양사들의 영양지식 정답율은 비영양사들의 영양지식 정답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영양태도 및 식 행동 점수는 비영양사들의 점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약간 낮게 나타나 영양지식은 높으나 실생활에서 태도와 행동으로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근무조건에서 실천이 불가능한 것은 이해가 가능하지만 영양교육을 담당해야 할 영양사들이 영양태도와 행동이 좋지 못한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므로 정기적인 보수교육을 통해서 이를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of dietitians and non-dietitia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dietitians and 195 non-dietitians who are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ult of anthropometric data and body mass inde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itians and non-dietitians groups. The dietitian group (16.61 ± 1.8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compared to the non-dietitian group (14.60 ± 2.17) in nutrition knowledge scores. Nutrition attitudes of the dietitian group (36.66 ± 6.91)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non-dietitian group (36.21 ± 7.95), but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dietitian group (61.52 ± 9.37) and the non-dietitian group (62.50 ± 11.25)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behaviors.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nutrition attitudes score of dietitians and non-dietitians groups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eating behaviors scor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e. Whereas,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ietitian r = 0.40829, nondietitian r = 0.51914). From these results, we could see the necessity of emphasis of nutrition knowledge by mending the education is necessary to enable dietitians to apply that in real life. Also it is important to guide non-dietitians to adjust their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6) : 840~854,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