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를 역사화하기 - 한국 장애사 쓰기의 현주소와 과제: 개념, 재현, 경험 - (Historicizing Disability: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Writing Disability History in Korea - Concepts, Representation, and Experienc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5.03
34P 미리보기
장애를 역사화하기 - 한국 장애사 쓰기의 현주소와 과제: 개념, 재현, 경험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91호 / 29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은경

    초록

    이 연구는 개념, 재현, 경험을 중심으로 장애사 연구 현황과 성과를 밝히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장애 연구는 주로 의학 분야의 치료나 재활, 또는 사회복지학의 복지 정책과 관련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최근 인문․사회과학은 근대 권력이 병리화하고 타자화했던 장애인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는 근대의 정상/비정상, 장애/비장애 이분법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등장했으며 마이너리티 연구의 진전에 힘입은 것이기도 하다. 신유물론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최근 철학적 사조의 변화 역시 장애 연구를 추동한 이론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역사는 아직 양적으로 많은 성과가 축적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역사, 문학, 미디어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등과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역사 지식의 관습적인 생산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장애 역사는 장애인의 경험을 통해 사회적 차별을 입증하는 수준을 넘어야 한다. 기존의 ‘억압받는 피지배층’에 새로운 타자를 추가하는 데에 만족할 수 없다. 장애 역사는 장애인의 경험을 마이너리티 역사의 맥락에 배치하고 차이를 정치화하는 한편, 근대 신체 규율과 정상성을 해체하는 문제를 급진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고통이 다른 사회적 범주(계급, 인종, 젠더/섹슈얼리티)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통찰을 발휘했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더 나아가, 장애인/비장애인, 인간/비인간적 타자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그 상호 관계를 성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몸들을 횡단하고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을 가로지르는 장애의 경험은 인간주의를 넘어 새로운 역사의 세기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disability history research, elucidates its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and explores future directions for advancement. Historically, disability research has predominantly centered on medical fields, such a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r on discussions related to welfare services in social welfare studies. However, recent developments in the humanities, including history, have focused on the ways modern power has governed, pathologized, and oth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making their bodies subjects of control. This shift not only reflects a critique of the modern normal/abnormal and disabled/non- disabled binary but is also influenced by the progress of minority studies. Theoretical frameworks such as new materialism and posthumanism have also provided critical momentum to disability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hievements of disability history research by examining key areas: terms and concepts, representation, and experience. It considers whether the categor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 social construct formed in the modern era and investigates the presence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pre-modern times. The study also explores how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have been used as symbols of colonialism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sability research with postcolonial theory. Finall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and ident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roposing approaches that move beyond singular identities to reveal intersecting experiences and social differences.
    This analys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xpanding disability history research beyond traditional discussions of treatment and welfare to include broader social and material contexts, using diverse academic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resources to pave new paths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