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도사(通度寺) 환성지안(喚醒志安)의 선시(禪詩) 연구 (A Study on Hwanseong Ji-An's Zen Poems at Tongdos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통도사(通度寺) 환성지안(喚醒志安)의 선시(禪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3호 / 69 ~ 108페이지
    · 저자명 : 권동순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통도사에 주석하였던 환성지안의 선시연구를 진행하여 환성의 죽음에대한 재조명과 환성의 통도사 주석을 재확인하고 그 선시의 특징과 의의를 살폈다.
    선풍을 진작시키고 법문의 종주였던 환성의 죽음과 관련하여 불법홍포를 위해 희생된순교자로 보았으며 조선중기 허응당보우와 같은 반열에서 서사되고 추존되어야 한다고조명하였다.
    환성의 선시를 통도사에 주석하였거나 문정목록에 실린 승려들에게 전해준 시를 전법시로 살펴보았고, 통도사 백련암 현판에 새겨져 있는 두 편의 시와 경상도 지방에서 읊은 시를 유행시로 분석해보았다.
    전법시의 특징은 무분별지와 불이(不二)의 사상으로 제자들에게 깨달음을 인가하였다.
    이때 화두를 직접 시어로 사용하였으며 오언절구를 즐겨 지어 격외시의 전형을 이루어내었음을 보았다. 유행시에서는 경상도 지역의 행적을 추적할 수 있었으며 특히, 통도사 현판에 새겨진 두 편의 시가 통도사에서 지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시의특징은 선취(禪趣)의 시취화(詩趣化)를 이루었으며 청시(淸詩)를 추구하였는데 이때의 정서는 한(寒)이라고 보았다. 이들 시작품을 통해서 환성이 통도사에 주석하였던 사실과 현재까지 통도사에 환성의 선맥과 시풍(詩風)이 계승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환성 시의 현실주의 표현미학과 천기론(天機論)적 시관(詩觀)은 선시문학사의 방향정립과지평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그 의의를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Zen poetry of Hwanseong Ji an that stayed at Tongdosa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to reconstruct his death, reaffirm his stay at Tongdosa,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is Zen poems.
    The study made a further step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that Hwanseong died a martyr, getting involved in Lee In-jwa's Revolt after promoting the Zen style and serving as the Jongju of Buddhist writings. The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cause of his death was a calumny by some Buddhist monks. His calumny was because he put an emphasis on the self 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and the realization of youngerstudents rather than exchanges with the nobility due to his Gyeolsunmujap character.
    The fact that his poems were followed by most Buddhist monks wa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t is thus more valid that his death should be considered as the death of a martyr to spread Buddhist teachings as the Daejongjang of Zen Buddhism in the political situations in early Joseon when Buddhism was persecuted. It was reconstructed that he must have been subjected to the same Seosa and worship as Heoeungdangbowoo in middle Joseon.
    The study then examined his Zen poems given to Buddhist monks that stayed at Tongdosa and those who were recorded in the Munjeong list as Jeonbeop poems and histwo poemsinscribed on the signboard ofBaekryeonam at Tongdosa and his poems that he cited in the Gyeongsang region as Yuhaeng poems.
    He wrote Jeonbeop poems to promote the realization of his pupils. In his Jeonbeop poems, he used topics as poetic words and presented a typical Gyeokui poem form as he enjoyed writing a quatrain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The study also estimated his influences on Tongdosa based on these poems.
    His whereabouts in the Gyeongsang region can be tracked with his Yuhaeng poems. His two poems inscribed on the signboard of Tongdosa, in particular, indicate that they were written at theBuddhist temple. One of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oems is that the Sichuihwa of Seonchui. In these poems, he sought after Cheongsi whose sentiment was Han.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his aesthetics of realistic expressions and his viewpoint of poetry based on Cheongiron had certain impacts on the direction and horizon of Zen poetry in the history of itsliterature, thus granting some significance to his Zen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