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東歷史(古代史)』를 통해 본 신채호의 초기 역사학 (Daedongyeoksa(Ancient History) and the Early Historiography of Shin Chaeho)

10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06
107P 미리보기
『大東歷史(古代史)』를 통해 본 신채호의 초기 역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2호 / 283 ~ 389페이지
    · 저자명 : 김종복, 박준형

    초록

    필자들은 최근 신채호의『대동역사(고대사)』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국학자료실에 소장된 사실을 발견하였다.『대동역사』의 서언은 이미 학계에 보고된『無涯散稿』의『대동제국사서언』과 동일하다. 한편『조선상고사』에서 신채호는 1907년 무렵에 支那式의 演義를 본받은 비역사 비소설인『大東四千年史』를 썼으나 중단되었다고 회고하였는데,『대동역사』가 바로 이것에 해당된다.
    서언에 의하면『대동역사』는 단기 4240년 즉 1907년에 쓰였다. 그렇지만 말미의 「기원연표」가 1914년까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대동역사』의 일부 내용이 朴殷植의『明臨答夫傳』(1911)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1914년까지 집필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1914년은 일단 필사 시기로 추정해 둔다.
    한편『대동역사』는 한결 金允經이 1914년 여름에 구입한 필사본이다. 그리고『무애산고』는 1915년 안동에서 간행된 등사본이다. 거의 같은 시기에 복수의 독자를 염두에 둔 필사본‧등사본이 출현한 점은 당시 대종교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동역사』는 크게 1) 舊史의 비판과 新史의 제창, 2) 扶餘族 중심의 역사, 3) 연의적 성격의 서술 방식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중 1)과 2)는 이미『讀史新論』에서 제기한 바 있다. 신채호는『독사신론』을 ‘論評의 獨斷’,『대동사천년사』(=『대동역사』)를 ‘行動의 大膽’이라고 자괴한 바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전통적 역사 서술 방식에서 근대적 역사 서술 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 과도기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Daedongyeoksa (Ancient History), written by Shin Chaeho, was discovered at the Korean Studies’ Library in Yonsei University. The preface of the Daedongyeoksa is the same as the preface of Daedongjeguksa in Muaesango, which has already been described. Shin Chaeho recalled in his Joseonsanggosa that he had been writing Daedongsacheonnyeonsa (=Daedongyeoksa), which was neither history nor novel, but he left it unfinished. Daedongyeoksa says it was written in 1907, the 4240th year of the Dangun Era. However, it is probable that it was completed by 1914, as a ‘Giwonyeonpyo’ (‘Chronology’) in the book ends in 1914 and some of its contents are the same as Myeonrimdapbujeon (The Story of Myeonrimdapbu, 1911) by Park Eunsik. We assume that Daedongyeoksa was transcribed in 1914.
    Daedongyeoksa is a handwritten transcript bought by Kim Yunkyeong in the summer of 1914. Muaesango is a mimeograph which was issued in Andong in 1915. It was probably with a result of activity by Daejongkyo (The Religion of Dangun) that the handwritten transcript and mimeograph, which were intended to have a wide audience, were brought out at the almost same time.
    Daedongyeoksa has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ly, it criticizes old historiography and raises a new method of writing history. Secondly, it is an historical account based on the Buyeo tribe. Lastly, it adopts fictional description. Shin Chaeho already described the two former characteristics in his article ‘Doksashinron’. He once derided himself, saying that Doksashinron was an arbitrary criticism and Daedongsacheonnyeonsa (Daedongyeoksa) was a bold undertaking. However, it could not help having a transient phase when the traditional historiography changed into the modern historio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